-
-
폭풍의 언덕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예전에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소개되어 접하게 된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가 죽기 1년 전에 발표한 유일한 소설이다. 라디오 속에서는 그저 히스클리프가 참 위험한 인물이라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영화도 보고 책도 보니 히스클리프 속에 가려진 에밀리 브론테만의 감수성과 강렬한 문체를 느낄 수 있었다.

황량한 들판의 외딴 저택 '워더링 하이츠'를 무대로 캐서린과 히스클리프의 비극적인 사랑을 시작으로 애드거와 이사벨을 향한 복수가 전부인 이 소설은 발표 당시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고 한다. 복잡하게 얽혀 두 집안을 파멸시키고 캐서린을 찾아 헤매는 히스클리프의 광기는 지금까지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 강하다.
하지만 진하고 깊은 사랑의 감정을 아는 사람들은 이 소설이야말로 사랑의 모든 부분을 특히 어두운 면까지 잘 포함하고 있기에 원숙한 사랑을 느끼고 싶다면 꼭 읽어봐야 할 소설이라고 한다. 사실 이번에 읽을 때는 히스클리프 중점이 아닌 주변 사람들과 배경 그리고 내면의 감정에 대해 집중해 읽어보았다.
종교적인 면도 많았고, 죽음에 대한 성찰도 꽤 많았다. 계급적이고 권위적인 관계 속에서의 굴복과 절망 그리고 씁쓸함이 이 소설을 더욱 음산하고 고통스럽게 만든 게 아닐까 싶었다. 에밀리 브론테가 요절하지 않고 계속 글을 남겼다면 어땠을까? 계속해서 <폭풍의 언덕>과 같은 스타일의 글을 썼을까? 분명 언니인 샬럿 브론테와는 다른 스타일의 글을 썼을 것 같다. 좀 더 나이가 들어 <폭풍의 언덕>에 다시 손이 갈지는 모르겠지만, 인상적인 고전문학인 것은 틀림없다.
두 아이는 저 같으면 떠올리지 못할 기특한 생각으로 서로를 위로하고 있었어요. ... 저는 흐느끼면서 두 아이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동안, 우리도 모두 그러한 천국에 갔으면 하고 바라지 않을 수 없었지요. - P74
아씨도 그분의 생각을 알고 있어서 기분이 괜찮을 적에는 그런대로 조용히 있었지만, 이따금 지친 듯 새어 나오는 한숨을 참다가 마지막에는 그지없이 슬픈 미소나 키스로써 그 모든 것이 소용없다는 것을 보여주었어요. - P255
만약 8월에 더 가까운 무렵에 그 경치를 보았더라면, 나는 틀림없이 그 호젓한 고장에서 한 달쯤은 지내고 싶은 마음이 생겼으리라. 산들에 둘러싸인 저 계곡들하며 깎아지른 듯한 절벽, 그리고 소박한 느낌의 굴곡진 히스의 숲들. 겨울에는 이보다 더 쓸쓸한 곳이 없고, 여름이 되면 또한 더할 나위 없이 멋진 곳이 아닌가. - P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