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에리히 프롬 지음, 라이너 풍크 엮음, 장혜경 옮김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의 기술>을 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이자 에리히 프롬이 남긴 미발표 유작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삶을 사랑하는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살아 있음의 철학이란 말이 깊은 울림을 주었다. 삶을 사랑하는 능력을 상실한 현대인들은 어떻게 회복해야 하는 것일까?



서로 간의 사랑을 떠나 모든 사랑의 핵심인 '삶에 대한 사랑'을 담은 이 책은 에리히 프롬의 마지막 8년을 함께한 조교이자 정신과 전문의인 라이너 풍크 박사가 유작을 엮었다고 한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대체 왜 삶을 사랑하는 능력을 상실한 것일까? 막연히 사회가 이렇게 만들었다는 생각만 갖고 있었던 게 사실이었다.


경제부터 사회, 정치, 노동까지 깊게 성찰한 이 책은 우리의 삶이 무의미하다고 여기는 이유를 살펴보며 우리가 회복할 수 있는 길을 알려준다. 점점 커지고 번져나가는 물질세계 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소비하면 소비할수록 공허함을 느끼게 된다. 이 공허함을 채우려고 할수록 더 커지기에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자유를 그리고 사랑을 잃어버리게 만들었다.


진정으로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사람, 삶을 온전히 충만하게 살아가는 사람은 이해하고 존중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 한다. 나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되는 삶을 사랑하는 능력과 삶을 사랑할 자유. 이 책을 통해 근본적인 인간에 대한 사랑을 알 수 있었기에, <사랑의 기술>이 더욱 기대가 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실제 삶에 대한 무관심 중 대부분은 삶에 대한 은폐된 적개심이며 삶과 살아 있는 것에 대한 사랑이 무력해졌다는 확실한 증거다. - P16

사랑은 성격으로 인한 증오와 마찬가지로 항상 그 자리에 있는 기본자세에 뿌리내린다. 사랑은 사랑하겠다는 꾸준한 마음가짐이다. - P112

자신이 주도하고 통제하지 않는 상태를 패배와 무기력의 증거로 해석한다. 그 결과 악순환이 시작된다. 더 강해진 통제와 권력의 욕망은 무력감에 대한 반응이지만 동시에 무력감을 더욱 키우기도 한다. - P1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