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패싱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99
넬라 라슨 지음, 박경희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8월
평점 :
어떤 이야기인지 알고 미리 구매해둔 책이었지만, 선뜻 손이 가지 않은 채 놔두고 있었다. 우연히 넷플릭스에서 발견해 보고 난 후 읽게 된 소설 <패싱>. 역시 감정 전달에 있어서는 영화보다 소설이 더 좋았다.

차별을 피하기 위해, 또는 백인의 혜택을 나눠 갖기 위해 흑인 정체성을 숨기는 것이 '패싱'이라고 한다. 이 소설은 피부색은 밝지만 흑인의 피가 섞인 혼혈 여성들의 이야기이다. '클레어'는 아주 예쁘고 이기적이며 자신의 이익을 쫓아 백인으로 패싱해 인종차별주의자와 결혼을 했고, '아이린'은 흑인 의사와 결혼해 흑인 중산층의 삶을 살고 있다. 둘은 어린 시절 친구였으며,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된다.
만남이 지속될수록 서로 간의 의견 차이는 좁혀지지 않았다.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새로운 삶을 살고 싶은 클레어와 흑인임을 인정하며 평온한 삶을 살고픈 아이린. 둘을 통해 인종 문제와 더불어 계급, 젠더, 성 정체성까지 다양한 문제를 다루게 된다. 초반엔 클레어가 참 악녀처럼 여겨졌지만, 뒤로 갈수록 클레어를 이해할 수 있었다. 결국 이렇게 된 건 사회와 사람들 때문이었을 테니까.
이 이야기는 1920년대에 쓰였다. 그 시대를 너무나 생생하고 섬세하게 담아냈기에 놀라울 수밖에 없었다. 백인과 흑인 사회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했던 그녀들의 삶의 어려움이 고스란히 느껴지니 어느 편이 더 났다고 선뜻 선택할 수 없었다.
소설을 읽었으니 영화를 다시 한번 봐야 할 거 같다. 이전에 놓쳤던 내면의 감정을 이번엔 느낄 수 있으리라.
편지를 한편으로 밀어두며, 그녀는 놀라움과 약간의 흥미로움을 느끼면서 자신의 내면을 휘젓는 격렬한 감정을 주시했다. 그녀가 느끼는 놀라움과 흥미는 크나큰 분노 때문이 아니었다. - P69
별다를 게 없어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댄스파티는 중요했다. 말하자면 그것이 아이린 레드필드의 삶에서, 다가올 수년 동안 어떤 흔적을 남기게 될 새로운 요소가 투입된 시점이기 때문이었다. 바로 클레어 켄드리와의 새로운 우정의 시작이었다. - P107
그녀는 원하는 것이 있으면 손에 넣었다. 왜냐하면 그녀는 희생이라는, 정복의 결정적인 요건을 받아들였으니까. 클레어가 브라이언을 원했다면, 그녀는 돈의 결핍이나 장소 때문에 주저하지 않을 터였다. 그녀가 말했듯, 그녀가 모든 것을 내던지는 것을 막는 건 마저리뿐이었다. - P1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