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수업 - 불교철학자가 들려주는 인도 20년 내면 여행
신상환 지음 / 휴(休)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를 떠나 '내면 여행'에 눈이 갔다. 그것도 불교철학자가 들려주는 인도 20년 내면 여행이라니. 믿고 읽어볼 수 있었다. 인도, 네팔 무스탕, 티벳, 중앙아시아를 오가며 직접 번역한 불교 경전을 통해 한 생의 깨달음이 이 책에 담겼으니 불교가 아닌 나에게도 뜻깊게 다가온 책이었다.



저자는 인도에서 20년간 불교를 연구하고 비스바바라띠대학교 인도-티벳학과 교수로 재직한 불교철학자이다. '제2의 붓다'이자 '대승불교의 아버지'로 불리는 '용수'의 중관사상을 전공한 학자이기도 하다. 불교에 대해 잘 모르지만,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엔 불교를 넘어 각 나라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현지를 담은 생동감까지 다 느껴볼 수 있었다. (사진 또한 저자가 직접 찍은 것이다)


"어떻게 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이것이 이 책의 핵심 주제였다. 인간이란 모두 죽음으로 향하는 여행을 하고 있고, 그전에 각자의 몫만큼 삶의 여행을 떠난다는데, 우린 잘 여행하고 있는 것일까? 저자는 <인도 수업> 총 4부를 통해 진정한 여행이란 밖으로 떠나는 것이 아닌 자신의 내면으로 떠나는 것이며, 그 어떤 누구와도 비교하지 않고 자신만의 길을 떠나는 것이라는 큰 깨달음을 건넨다.


이 책을 통해 각 나라별 불교를 제대로 알 수 있었으며, 현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또한 저자와 불교적 깨달음을 통해 내면 여행을 차분히 할 수 있어 좋았다. 종교를 떠나 진정한 '내면 여행 + 명상'을 알고 싶다면 꼭 읽어보길 추천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내가 지은 것은 내가 받는다.‘ 이것이 인도인들의 유전자를 지배하는 ‘지은 것‘을 뜻하는 ‘까르마karma‘, 즉 업業이다. 그리고 당연히 뒤따르는 것이 ‘그럼 죽음 이후에는?‘이라는 문제다. 만약 죽음으로 이 업이 모두 사라진다면 ‘내가 지은 것을 내가 받지 않아도 되는‘ 상황과 마주하게 된다. 바로 이런 이유로 업과 윤회는 떨어질 수 없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모든 세계 종교가 강조하는 사회적으로 행할 도덕적 의무인 ‘더불어, 함께‘ 사는 삶을 강조해도 죽음 이후의 문제에 대해서는 각기 달리 해석한다. - P44

한문 경전권 불교나 티벳 불교, 아니 모든 불교가 기복과 신행을 최고로 친다면 여타 종교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지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불교는 다른 종교와 구별되고, 특히 대승 불교가 ‘더불어 사는 삶‘에 강조의 방점을 찍는다면 남방, 또는 소승이 추구하는 아라한의 길과 차이가 난다. - P1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