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정한 보상
신재용 지음 / 홍문사 / 2021년 12월
평점 :
공정한 보상이란 무엇일까? MZ세대 이전은 '공정한' 보상에 대해 그다지 목소리를 높이지 않았던 것 같다. MZ세대를 통해 공정한 보상에 대해 목소리를 높일 수 있게 된 지금. 대체 공정한 보상은 무엇일까?

SK 하이닉스 성과급 논란부터 삼성전자의 파격적인 인사제도까지 분명 MZ세대를 달래기 위해 대기업들이 달라지고 있기는 하다. 언제부터 MZ세대들은 공정한 보상을 요구하게 된 것일까? 저자는 MZ세대의 성장배경을 분석했다. 학창시절부터 끊임없이 반복되었던 토너먼트식 경쟁 끝에 사회에 자리를 잡은 그들은 자신의 노력에 상응하는 대가를 받아야 공정한 교환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쉽사리 잊히지 않을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이는 기업들은 과연 준비되어있을까? 저자는 지금이라도 늦지 않은 보상 제도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기 위해 고민할 경영자와 실무자들에게 다섯 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운의 필터링, 개인 단위의 성과평가, 제도의 투명성, 역할 중심의 다양한 보상 그리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까지. 어떻게 보면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노력에 대한 진정한 보상이며,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제도가 아닐까 싶었다.
이처럼 정확히 보상 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이해점을 양쪽의 입장에서 정확히 알려준 책은 보지 못했다. 그렇기에 실무 보상제도에 대한 관심이 앞으로도 쭉 이어지며 앞으로의 미래를 위해 이 책 또한 경영자들과 실무자들에게 많이 읽히길 바란다.
*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MZ세대는 지금까지 노력해온 것 혹은 성취한 것에 대해 공정한 평가나 대우를 받고 있는지 스마트폰만 몇 번 누르다 보면 알리고 알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이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다. - P47
상대평가 인센티브를 사용할 때 타고난 운을 최대한 필터링하여 ‘선수‘들의 능력을 유사하게 만들면, 참가자들은 보상공정성이 높다고 느끼게 되고 성과급의 동기부여 효과도 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 P204
회사도 사정이 허락하는 한 진정성을 가지고 개인의 성과평가 및 인센티브나 연봉산출방식에 대한 투명한 공개와 조직/전사성과급의 경우 관련 경영실적 및 예상금액을 주기적으로 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불만은 최소화하고 구성원들의 경영노력 증대라는 성과급 본연의 목표를 유도해야 한다. - P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