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적소적재 - 공정한 한국사회를 위한 직무주의 HR 이론과 실천전략
유규창.이혜정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12월
평점 :
현 시대의 인사관리 접근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고 한다. '적재적소 접근법' 그리고 '적소적재 접근법'이다. 같은 말처럼 들리지만, 이 두 가지는 다른 결과를 가져다준다. 과연 그 차이는 뭘까?

적재적소 접근법은 속인주의 인사관리로, 사람을 찾아, 사람을 보고 자리를 제안하는 방식이며, 적소적재 접근법은 직무주의 인사관리로 필요한 일에 꼭 맞는 사람을 찾는 것이다. 이전 사회는 속인주의 인사법이었다면, 이젠 점점 직무주의 인사법으로 바뀌는 추세다.
어떻게 보면 적재적소 접근법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어울리는 방식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맞추다 보니, 문제점들이 드러나기 시작했고, 실제 많은 기업이 적소적재 접근법으로 변화를 시도했지만, 잘 이뤄지지 않는 점이 있었다.
책 <적소적재>는 총 4부에 걸쳐 실제로 기업과 조직에 사용할 수 있는 개념과 평가 방법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꼼꼼하게 포함되어 있었다. 일, 노동 그리고 역할이 직무와 어떻게 다른지부터, 직무주의를 적용해 채용 및 평가하는 방법 등 대기업뿐만이 아닌, 중소기업과 공기업까지도 사용될 수 있음을 강조하기도 했다.
책처럼 모든 기업이 공정한 한국 사회를 위한 직무주의로 바뀌길 바라본다.
'플랜비디자인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적은 리뷰입니다.'
적소적재 직무주의 인사관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사람에 대한 이해 못지않게, 어쩌면 더 중요하게 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조직‘이라는 범위에서 일을 이해하는 것이다. - P71
평가 결과가 제대로 피드백되려면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책임과 역할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상사는 부하직원들이 직무를 수행할 때 어떤 기대치가 있고, 요구되는 역량의 수준은 무엇인지 인지한 상태에서 어떤 면이 부족하고 무엇을 잘하고 있는지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 P169
적소적재 직무주의는 향후 몇 년간 한국의 인사관리 미래 방향에 대한 담론을 제공할 것이다. 많은 찬반토론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사제도는 기업의 조직문화와 리더십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 사회가 지향하는 수평적이고 개성 존중의 활기찬 조직문화와 리더십이 되기 위해서는 적소적재 직무주의 인사관리는 필요조건이다. - P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