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로드
조너선 프랜즌 지음, 강동혁 옮김 / 은행나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든 작가 조너선 프랜즌. 그의 6년 만의 신작인 <크로스로드>는 1970년대 미국인의 삶을 특히나 가족의 삶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미국 중서부를 배경으로 힐더브랜트 가족은 겉으로 보기엔 아주 화목하고 평범해 보이지만, 각자 자신만의 자유를 추구하며 삶이 점점 꼬여간다.



부목사로 일하며 이혼녀와 결혼한 주인공 러스 힐데브란트. 그는 아내 매리언에게 권태를 느끼고 있었다. 그러다 눈에 들어온 여인 프랜시스 코트렐. 한편, 매리언은 부목사인 남편과 네 아이의 엄마로서 살아가고 있으나 과거에 겪은 일로 인해 상담을 받으러 다닌다. 그들의 딸 베키는 고등학교에서 인기가 가장 많으며 사립대학에 진학할 목표를 갖고 있는데, 여자친구가 있는 남자에게 마음을 품게 되고, 아들 페리는 누나에게 열등감을 느끼고 있으며 약물중독 위험에 쳐해있다.


이외에도 <크로스로드>엔 기상천외(?)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1부 대림절과 2부 부활절로 나뉜 이 벽돌책을 읽다 보면 이 모든 캐릭터가 결국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들로 인식하여 이해 아닌 이해를 만들어냈다. 또한 이 가족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온갖 사회적 문제들이 존재하고, 사람마다 내면에 숨겨진 많은 감정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상처는 또 다른 상처를 만들어내고,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만들지만, 또 다른 희망을 만들어내는 게 결국은 가족이 아닐까 싶었다. 두꺼운 책이지만 어떻게 보면 한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그저 한 부분이었던 책 <크로스로드>. 조너선 프랜즌이 그린 또 다른 이야기가 무척 기다려진다. 부디 오래 걸리진 않길.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행동할 시간이 왔다. 뭉툭하고 붉은 상처가 동쪽 지평선의 구름 아래에서 벌어졌다가 아물었다. 그 밑으로, 클렘의 창문에서는 베인 옥수수 줄기가 늘어선 들판이 멀리 보였다. - P146

베키는 취기에서 구원받은 것 같은 기분, 다시 평화로워진 기분도 느꼈다. 잠깐이지만, 그녀는 신의 빛을 언뜻 보았다. 그녀의 기도에 응답이 있었다. - P406

베키는 상관없다는 표정으로 시선을 돌렸다. 클렘이 부탁한 것은 그녀와 함께할 기회뿐이었고, 베키는 그에게 그 기회를 주고 있었다. - P8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