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엄호텔 ㅣ 프랑스 여성작가 소설 2
마리 르도네 지음, 이재룡 옮김 / 열림원 / 2021년 9월
평점 :
여성 프랑스 작가 '마리 르도네'의 삼부작 중 첫 소설인 <장엄호텔>. 길지도 짧지도 않은 이 소설은 심오한 뜻을 담고 있다. 저자의 소설엔 희망이 전혀 보이지 않고 오로지 죽음으로 시작하며 죽음으로 마무리가 된다.

<장엄호텔>은 이름도 얼굴도 묘사되지 않는 '나'가 쓰러져가는 호텔을 지키며 기묘한 사건을 겪는 이야기이다. 호텔은 세운 '나'의 할머니는 돌아가시고, '나'는 엄마와 언니들이 떠난 그 자리를 하염없이 지키고 있는 존재이다. 사람들의 발길이 끊어지기 시작하고 노후가 된 호텔을 관리하고 있던 차, 갑자기 언니들이 등장하며 이야기는 한층 더 무거워진다. 떠날 생각이 없을뿐더러 잘 나와보지도 않고, 관리의 몫은 오로지 '나'인 상황이 되어버린다.
호텔은 늪에 세워져 지독한 습기를 발생시켰고 호텔은 견디지 못한 채 곰팡이, 해충, 쥐 떼 등 병을 발생 시켜 호텔을 방문하는 사람들 모두를 죽게 만든다. 죽지 않는 건 오직 현 호텔 주인인 '나'. 이어지는 죽음에도 언제나 손님을 환영하는 '장엄호텔'. 어쩌면 그녀는 '장엄호텔' 그 자체를 자신의 일부이자 자신의 가족이라 생각할지도 모른다. 장엄호텔 안에서 '나'는 주인이 되며 표현은 크게 하지 않지만 살아가는 이유와 흔들리지 말아야 할 이유를 이해하게 됐다. (방법은 전혀 달랐지만, 그녀의 언니들도 돌아온 후 나름대로 호텔을 지키고 살아가려 했다.)
<장엄호텔>은 '나'가 운영하는 방식과 운영하며 일어난 사건들, 이 모든 것이 복잡하게 얽혀 우리가 삶을 살아가며 겪는 우리의 불완전하고 어두운 모습을 고스란히 투영하고 보여주었다. 한번은 내용을 알기 위해 읽고 또 한번은 그 내용에 비치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찾아보면 좋을 프랑스 소설 <장엄호텔>. 저자의 두 번째 소설은 어떨지 너무나 기다려진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할머니는 늪을 잘 알고 있었다. 나도 잘 알고 아델에게도 가르쳐주었다. 아델도 늪을 좋아했다. 그러나 그녀는 연극을 잊지 못한다. 그녀는 편지의 답을 기다린다. - P20
그녀의 핏속에는 권위가 있었다. 할머니는 손님을 다룰 줄 알았다. 그녀는 장엄호텔이 얼마나 인기가 있는가를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 P86
늪지대 어디에서도 장엄이 잘 보인다. 밤이면 네온사인이 빛나 아주 멀리서도 잘 보인다. 하늘과 눈 위에 두 점이 있다. 그건 장엄의 네온사인이 반사된 빛이다. - P1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