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부들
치고지에 오비오마 지음, 강동혁 옮김 / 은행나무 / 2021년 8월
평점 :
하나의 절대적인 믿음으로 한 가정이 무너져내렸다. 그 믿음이 이 소설 속에서 유난히 더 도드라지고 깊게 빠져들게 만든 건 아프리카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삶 속 종교와 한 예언 때문이기도 하지만, 아직 세상을 겪어보지 못하고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명확하지 않은 불완전한 성장기의 소년의 마음 때문이었을 것이다.

시대의 배경은 1990년대의 나이지리아이다. 어지러운 나라의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종교를 절대적으로 의지하거나 더 나아가 광기 어린 집착을 보인다. 벤저민 가족은 언제나 서로를 위하고 사랑했다. 아버지가 일 때문에 집을 비워도 첫째, 이켄나는 가장 노릇을 하며 어머니와 남은 형제들을 끔찍하게 생각하고 위하였으며, 동생들은 그를 믿고 따랐다. 이 끈끈한 가족애를 단번에 무너뜨린 것은 한 광인의 예언 때문이었다. 금지된 곳에서 낚시를 했던 이켄나는 그 남성의 예언 하나로 달라진다. 그냥 넘길 수도 있는 말이었지만, 나라의 깊게 뿌리 내려진 풍습과 관습으로 무시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늘 어른스러웠던 이켄나의 나이는 고작 15살이었다.
말도 안 되는 미신 하나로 한 사람이 무너지고 그 주변의 사람들까지 무너져내렸다. 죽음에 대한 공포로 한 사람이 미쳐갔고 그 영향을 고스란히 받은 가족들. 그 속에서도 아주 작은 희망이 피어났다. 변해버린 가족의 형태였지만, 그 속에서도 여전히 서로를 향한 사랑을 느꼈다. 비극의 슬픔이 사랑으로 덮어진 것이었다. 극단적인 이야기로 전개된 가족의 사랑을 보여주는 책이었지만, 인간으로서 내면에 잠식된 두려움과 공포의 영향을 잘 보여준 책이라 생각한다. 나에겐 강한 인상으로 남을 첫 아프리카 소설. 아프리카 문학이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내가 너희들에게 바라는 모습은 좋은 꿈을 낚는 어부, 가장 큰 고기를 잡기 전까지 쉬지 않는 어부들의 집단이 되는 것이다. 나는 너희들이 거대 조직이 되기를, 위협적이고 막을 수 없는 어부들이 되기를 바란다. - P52
이켄나는 참새였다. 날개 달린 존재, 눈 깜빡할 사이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날아가버릴 수 있는 존재. - P188
그러나 왜가리는 다른 점으로도 유명하다. 왜가리는 종종 좋은 시절의 징후놔 전조로 여겨진다. ... 낮게 나는 흰새의 무리가 머리 위를 지나간 다음에는 손가락을 흔들어대며 "왜가리야, 왜가리야, 내 위에 앉으렴"이라는 말을 반복하곤 했다. - P3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