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슈퍼매스 - 수학, 인류를 구할 영웅인가? 파멸로 이끌 악당인가?
애나 웰트만 지음, 장영재 옮김 / 비아북 / 2021년 5월
평점 :
어렵다고 생각하면 계속 어려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어렵다고 생각해왔던 편견을 깨고 ('수학은 흥미롭고 알아갈수록 재미있는 분야'라는 마음을 먹고) <슈퍼매스>의 첫 장을 펼쳤다. 수학이 우리를 구원할 영웅일까 아니면 악당일까? 다섯 가지의 질문을 하며 수학이 가진 양면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슈퍼매스>. 수학이라는 힘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고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했다.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이 순간에도 수학은 어떻게 해서든 적용되고 있다는 뜻이다.

저자 애나 웰트만은 수학 교사이자 작가이다. 그녀가 보여준 여러 사례를 통해 정말 수학의 힘을 잘만 사용한다면 앞으로의 미래가 더욱더 기대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만큼 강력한 힘이니 악용될 가능성도 충분했다. 나를 포함한 일반적인 사람들에겐 그저 계산이나 공식에 불과한 수학이 삶을 좌지우지 한다는 게 참 아이러니했다. 수많은 사례 중 가장 마음이 갔던 것은 '알고리즘'이었다. 알고리즘은 사람들이 결정 내리는 것을 돕기 위하여 데이터를 사용하는 수학적 절차라고 한다. 이 알고리즘은 어디에나 존재하며 집단으로 표준화할수록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적합하다고 한다. 인간적 오류를 방지하는 일을 해결할 때에도 알고리즘은 중요해지는데, 과연 카포셀라 판사가 알고리즘을 무시한 선택이 올바른 결정이었을지 너무나 궁금하다. ('불공정한 알고리즘' 편에 나온다) 나중엔 이 또한 수학적으로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
수학의 핵심은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수학의 힘은 우리의 생활을 바꿔가고 있으니 앞으로 다가올 미래엔 수학의 비중이 더 커질 것 같다. 앞으로도 수학이 기회를 잡아 문제가 되었던 것을 바로잡고, 수학자들만이 아닌 대중에게도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줄 날이 오길 바란다. 책장을 덮는 순간까지 수학과 친해지진 않았지만, 수학엔 다양한 면이 있고 생각보다 더 많은 것에 연관되어있다는 사실에 무작정 수학이 싫다는 편견을 깨준 <슈퍼매스>에 감사하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각도와 피타고라스 수처럼 오늘날의 우리가 고정된 수학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형태와 패턴들도 수천 년 전의 수학자들에게는 무언가 다른 것을 의미했을지도 모른다. - P50
알고리즘은 수학을 기반으로 하지만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은 편견을 가지는 인간이다. 알고리즘은 때로 불공정한 결정을 내린다.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결정들이다. - P121
수학의 힘은 부분적으로 수학이 해결하는 문제에서 나온다. - P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