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여자 - 일상에 도전하는 철학을 위하여
줄리엔 반 룬 지음, 박종주 옮김 / 창비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하는 여자>의 저자 줄리엔 반 룬은 누구를 여성 철학자로 정의할 수 있는지, 철학이란 무엇인지를 다룬다.

저자는 소설가, 교수, 역사가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여성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이 일상에서 하는 생각과 그들이 가진 철학적 사유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이 책은 총 6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놀이|일|두려움|경이|우정 이 그것이다.

기존 철학서는 철학자가 펼친 사상과 개념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독자는 그것을 이해하고 배운다.

그러나 <생각하는 여자>는 살아있는 사람들을 다룬다는 점, 그리고 그들을 인터뷰한 내용으로 글이 진행된다는 점에서 어떤 개념을 알려주거나, 이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기존 서적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금은 낯선 이 방식은 책을 읽으며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인상을 주기도 했다.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나눈 대화, 그에 대한 작가의 생각, 인터뷰이의 일화 등이 뒤섞여 집중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사실, 간통에 대해 다루는 <사랑> 챕터에서는 공감이나 이해를 하기 어려웠다. 저자의 생각과 나의 생각이 맞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내가 가장 인상깊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범위라고 생각하며 읽었던 챕터는 <일>에 대해 다루는 챕터였다. 이 챕터는 "어떻게 스스로를 팔지 않고 일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보수적인 철학계에서 여성 교수로 '살아남은' 낸시 홈스트랭과의 대화에서 여성과 일을 주제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자본주의가 여성에게 과연 도움이 되는 사회체제인가? 라는 물음은 나에게도 큰 질문이 되어 다가왔다. 한 번도 이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여성이 올라갈 수 있는 직위의 한계,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커리어에 미치는 영향 등… .

이 챕터를 읽으며, 여성의 경력단절과 자본주의에서 여성이 가져갈 수 있는 것은 무엇이고 잃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다.
일상 생활과 결코 떨어져 있다고 할 수 없는 철학. <생각하는 여자>는 동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던 "일상"과 "철학"을 솜씨 좋게 연결한다.

일상을 살아가며 마주하는 상황, 환경, 대화에서 생각의 소재를 포착하고, 이를 철학적으로 확장시켜 이야기 하는 여성들을 보는 것 만으로도 자극이 되는 것을 느꼈다.

여성의 사유도 철학적 사유로 확장될 수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때론 무언가가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만으로도 자극을 얻을 수 있고, 위안이 된다고 생각한다. ​아직 나는 너무나 젊고, 생각의 길이가 짧아 <생각하는 여자>를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철학적 사유를 할 수 있는 여성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그들이 이야기하는 여성의 한계와 여성이 가져야 할 자세를 보며 언젠가는 나도 같은 상황을 마주하고 비슷한 의문을 품게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그때 다시 꺼내보면 어떨까. 그때는 좀 더 다르게 읽히지 않을까? ​깊은 이해를 하며 다시 읽어보고 싶은 책, <생각하는 여자> 리뷰를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