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나는 깊은 바다 속에 잠들어 있던 고래였다
수산나 타마로 지음, 이현경 옮김 / 인디북(인디아이)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아니마문디..

도대체 무슨 뜻인지 종잡을 수 없었던 단어...

 

 

이미 오래전에 수산나 타마로라는 작가는 이 책을 세상에 내보였다.

그리고 다시나온 이 책은 내게 어렸을적 대한민국 청소년 필독서중의 하나로 유명한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제법 오랫동안 깊은 우울감을 맛보게 했다.

 

자아 관념이 상대적으로 연약하고 나약하여 외부 세계와 쉽게 융화되지 못했던

 - 혹은 선과 악의 기준에서 무지하다 생각되었던 - 주인공들이 주위의 영향

(실제로 두 친구들은 주인공과 비교했을때 상당히 확고하고 주체적인 자아성을 이미 지니고 있었다.) 을 받고 과도기적 청년기를 지나 주체적인 성년이 되기까지의 내면적 이야기라는 점과, 글의 마지막 부분에 등장하는 여인에 대해서도 두 책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글의 전체적인 부분에 등장하는 남자들과 대비되는 여자

(데미안에서는 데미안의 어머니인 '에바부인'이 등장하고,

 나는 깊은 바다속에 잠들어 있던 고래였다에서는 안드레아의 마지막을 함께했던 '이레네수녀'가 나온다)들은

딱히 여성적이라고도, 남성적이라고도 할 수 없는 독특한 존재로 다가왔다.

혹은 신적인 존재로써 부각시키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라고도 하지만

내게는 결국 모든이들은 여자에게서 나온 이들이라는 의미로 여겨졌었다.

즉, 결국 그들이 돌아가야 할 존재라는 의미로 상징되었다는 뜻이다.

 

 

책은 크게 3분류 - 결국은, 성장과 자아의 발견 그리고 성찰이겠지만 -

땅,불,바람으로 나누어져 말하고 있다.

 

 

어쩔수 없는 사회적 동물인 인간인지라

주인공역시 안드레아라는 이름의 친구에게서 영향을 받아 사춘기를 보내고

현실의 괴로움에 치여 인생을 낭비하다가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과도기에서 다시 옛 친구를 찾아가는 여행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알게된 친구의 상황과 향후의 길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금 독특했던 점은

데미안에서 주인공 싱클레어에게 영향을 미친 '데미안'은

'선'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을지모르겠지만 어쨌든 삶의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했으며 올바른 기준을 보여줌에 무리가 없었지만

이 책의 주인공 발테르에게 정신적 영향을 미친 친구 안드레아는 '악'의 기준 - 절대 긍정적으로 생각될 수 없는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또한 책의 결론부분에서 알게되는 생각지 못한 반전도

과연 내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믿고 의지했던 기준의 토대가 허상인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들게 하는데 한 몫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결국, 이 책은 본인 개개인의 존재라는 것에 대해 말하고자 한것이 아닌가 싶다.

어떡하면 더욱 만족스러운 존재로 세상에 실현될 수 있는가가 인간의 궁극적 의지가 아니겠는가.

 

 

책을 읽는 내내 그리고 읽고난 한참동안도 우울과 무기력함을 떨쳐 낼 수 없었지만

살아오면서 저마다 한번이상의 정체성에 대한 의구심이 든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읽음으로써 스스로의 자가의지로 인해 세상에 치이고 상처받아 고통스러웠을지라도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속에서 가졌던 위안, 혹은 현실에 대한 자아존재의 인정에 대해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버자이너 문화사 - 교양과 문화로 읽는 여성 성기의 모든 것
옐토 드렌스 지음, 김명남 옮김 / 동아시아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여자로써
80년대와 90년대를 청소년기로 보낸 나로써는

정말 무섭고 두려운...
마치.. 누군가 내가 이 책을 읽고 있다는 것에 대해
손가락질을 하지는 않을지
눈치에 걱정이 큰 책이었다.

20살이 되어 대학생이 되었을때
'피자매연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시대는 무언가 여성적인 혁명(??)이라는
나름의 작은 운동들이 일어났었었고
많은 여자들이 동참을 하곤 했었는데
내겐 그러한 모든 움직임들이 무섭게만 느껴졌다.

웬지 사회에 반하는 행동들인것만 같아서...


티비에서,
영화에서,
이때껏 내가 접한 수많은 문화적 접근들에는
은연중에 서양의 '성문화'는
참 많이 자연스럽고 개방적이라는 생각이 당연시되었다.
그래서 처음 이 책을 접할때에는
'서양사람이 하는 말이니 어련하겠어..'라는 생각이 든것도 사실이었다.

우리 나이‹š의 성교육이라는 건
그냥 시커먼 그림자로 그려진 남녀가 나오고
여성과 남성의 성기가 대충 그려진 교과서에
무언가 복잡한 단어들만 나열된..
그래서 정말로 '다리밑에서 주워왔다'라는 말을
당연하게 믿는 친구들도 더러 있었다.

무지의 무서움을
왜 '성'적인 측면에서는 그렇게 당연하게 여겨온 것일까..

이 책을 읽으면서
여성의 성기가 어떻게 생겼는지..
어떻게 부르는것이 올바른지......
어떻게 관리하고 교육을 받아야 하는지

적나라하고 민망하지만
그래서 더욱 알아야만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십대 중반이 이르도록
아직도 산부인과는 물론이거니와
여성과 근처를 지나가는것조차도
웬지 얼굴이 화끈거리는 내가
만약 청소년기에 좀 더 확실하게
그리고 당당하게 성교육을 받고
내 몸이 어떤지
여성으로써의 자부심을 배웠더라면
아마 이 나이가 되도록 이토록 무지하게
여성으로써의 나를 관리하지 않았을것이라는
안타까움에 내 주위의 모든 이들 - 비단 여자뿐만이 아니다 -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물론, 혹자는 이렇게까지 자세하게 알 필요가 있는가라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굳이 우리가 이렇게까지 탐구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면,
인구의 반이 넘는 '여성'을 몰라야 할 이유는 또 무엇이란 말인가!

물론, 이 책을 읽는 내내 부끄럽고 민망했지만
그것이 단지 책의 내용때문이라기보다는
나의 무지함과 세상의 기준에 맞추어 살아가야만 한
여성들의 억압된 관념과 행위때문이라 생각되기에
반드시 이 책을 보고 따라야 하는게 아니더라도
한번쯤 이 책을 읽어보고
여성으로써 나의 몸을 조금 더 사랑하는 방법을
모색해봐야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