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의 종말, 세계의 탄생
에르베 켐프 지음, 권지현 옮김 / 생각의길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꿀벌의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단다.
벌에 몇 차례 쏘인 아픈 기억이 있는 나로서는 위험이 줄어 환영할 만한 뉴스이긴 하지만,
내용을 더 들여다 보면 환영은 잠깐이고 오히려 공포다.
 
인류가 섭취하는 식용작물의 75% 정도는 꿀벌의 도움 없이는 결실을 맺지 못한다.
그 말은 꿀벌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인류는 필요한 칼로리의 절대량을 확보할 수 없다는 뜻이다.
꿀벌은 왜 사라지고 있는 걸까?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와 과도한 살충제의 사용에서 원인을 찾는다.
 
이미 50 여년 전에 레이첼 카슨이 새소리가 들리지 않는 침묵의 봄을 맞이하며 
자연이 인간에게 경고하고 있음을 알아챘지만,
그 후로도 우리 인간은 자연이 버텨낼 수 있는 것 이상을 소비해왔다.
무엇이 잘못 된 걸까?
 
에르베 캠프는 지구가 탄생한 순간부터 바로 어제까지를 매우 빠른 속도로 여행하면서
그 지나온 길의 정류장에 남겨진 인간의 흔적과 의미를 들추어 낸다.
그리고 그 정류장에는 각기 다른 생태환경이 있다.
 
이를테면, 더 높은 경제력을 지니고 있던 중국이나 인도가 아닌 유럽에서 
산업혁명이 시작될 수 있었던 이유 또한 생태학적 기회가 달랐기 때문이라는 설명.
(석탄과 식량을 공급해주는 아메리카 대륙)
한 곳에서 떠났지만 해수면의 상승으로1만 년이 넘도록 서로 만나지 못했던 아메리카 원주민을
유럽인이 정복할 수 있었던 이유도 대포나 총보다는 유럽인과 함께 살던, 
그러나 원주민에게는 매우 치명적인 병원균의 숙주들이었다는 분석.
 
그래서 서구는 17세기 이후 대분기를 거쳐 세계 경제를 주도하고 지배해왔지만
지금은 어느덧 대수렴 시대로 접어들었다는 분석. 
(프리드먼의 '평평한 세계'와 개념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전망은 완전히 다른!!)
서구의 번영을 이끌어 왔던 포드시스템, 그 포드시스템을 받치고 있었던 '평등, 생산성, 성장'의 

삼총사가 대수렴이 이루어지면서 '불평등, 투기, 부채"의 삼총사에게 자리를 내주었다는 것.
 
대수렴이 무슨 문제냐고?
서구 수준으로 생산하고 소비하는, 혹은 소비하려는 중국,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를 보라.
지구가 버틸 수 있겠는가?
 
더군다나 대수렴을 불러들인 것은 바로 대분기 그 자체 아니던가!!
포드시스템은 높은 임금에 의한 대량소비를 전제하는 것인데
저유가 시대가 저물고 자본은 이윤율 하락을 막기위해 불완전 고용을 만들어 냈고,
값 싼 노동력을 찾아 지구 구석구석을 찾아 다녔으니
이제 더 이상 산업자본에게 노다지를 안겨 줄 나라가 남아 있지 않게 되버렸다.
 
한마디로!!
지금 인류는 지구가 줄 수 있는 것 이상을 지구에게 요구하고 있고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것 이상의 부담을 지구에게 주고 있는 셈이다.
 
켐프는 좌파도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맑스가 전제한 고도의 생산력에 의한 생산관계의 혁명적 변화가 아닌
생태적 경제를 꿈꿔야 한다고 말한다.
서구수준으로 소비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인류가 유지될 정도로 소비하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
 
빙하기가 끝나고 해수면 상승으로 시작된 홀로세가
이제 인류가 과다 사용한 화석연료로 인해 인류세로 넘어가고 있다.
아인슈타인이 그랬다지?
꿀벌이 사라지면 4년 이내에 인류가 사라진다고.
 
성장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생태의 패러다임을 기획하자는 켐프의 제안,
깊게 생각해 볼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