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게더 -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기
리차드 세넷 지음, 김병화 옮김 / 현암사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북한은 정말 전쟁을 하겠다는 것일까? 

아니면 위협을 통해 다른 것을 얻자는 것일까? 
 여론 흐름을 보면 다수 국민은 후자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 같다.

그러면서도 '막다른 골목에선 쥐가 고양이를 문다'는 속담을 

아예 모른척 할 수도 없는 상황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쫄면 죽는다. 대차게 나가자"는 쪽의 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여론은 왜 나뉘는 걸까? 

무엇을 위해서 나뉘는 걸까?

리처드 세넷은 사회갈등의 한 요소로  "부족주의"를 끄집어낸다. 
거기에 개인과 집단의 르상티망이 결합하면 사회는 더 이상 

어울려 살 수 없는 그 무엇이 된다.
오호~!! ressentiment !! 

원한, 원망, 복수욕!!
그래서 그런지 세넷은 사회를 '통합'될 수 있는 것이 아닌 

'협력'만이 가능한 그 무엇으로 보는 것 같다.

인류가 지구상에 출현한 이후 함께 사냥하고 함께 방어할 영역을 정하면서 

부족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즉 부족은 한 개인이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부족주의의 문제는 자신과 같은 사람의 연대를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공격과 짝을 지우며 강화한다는 사실이다.

세넷이 든 사례; 직장이나 학교에서의 따돌림, 한인타운에서의 흑인폭동, 

상업화된 SNS, 노동조합의 경제주의, 사무직 작업장의 사일로 효과 등등.
부족내 통합이 부족간 협력을 방해함으로써 

개인에게 화살이 되어 돌아오는 역설을 세넷은 보여준다. 
더 심각한 것은 그 부족은 구성원이 확대되는 게 아니라 축소되고 있다는 것!!
(대법원 확정판결로 게임끝났다고 생각한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문제에 대처하는 

정규직 노동조합의 자세를 보라!! 
조합원 자녀 취업에 가산점을 달라는 세습권을 요구하는 것을 보고

난 그들을 '귀족노조'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 

급여의 문제가 아니라 세습의 문제에서!!) 

세넷은 협력의 기술 몇가지도 제시한다.
그 중 단연 압권은 경청!! 듣기의 기술.
궁극에 협력이란 타인에 대한 우리의 반응 능력이므로.

하긴 자극이 바로 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지

(바로 일으키는 게 문제고. 그 놈의 '욱'하는 성질). 

자극과 반응 사이에 있는 것. 

반응까지 가기위한 무수한 선택지. 

 

공지영의 책에서 읽었던가?

거기에서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사실 우리의 행복을 가르게 되는 것 아닐까?

 responsible은 response-able이므로.

전쟁없는 한반도를 구상하는 데에도 세넷의 <투게더>는 도움이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