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의 배신 - 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배신 시리즈
바버라 에런라이크 지음, 전미영 옮김 / 부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긍정적 사고가 조직 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항목이다.

윗 사람의 지시에 이의를 달거나, 어렵다는 말은 그 내용이 아무리 타당하더라도, 그 말을 한 사람에 대한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갖게 한다. 그게 딜레마다.

난 사실 이 책의 내용에 나오는 사람 중 한 명이다. 영업을 한다. 그래서 그런지 나 스스로 내가 하는 행위에 대하여 옳다고 스스로 믿고, 상품에 대해서도 그렇게 생각한다. 거절을 당해도 다시 일어서기 위해서 스스로를 단련한다. 그러면서 스스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한다. 사실 이 정도의 긍정성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게 없으면 정말 우울해 지기 딱 좋다. 그리고 반성을 한다. 무엇이 문제인지를. 아마도 그런 반성이 없다면 나도 긍정 과잉자가 될 것 같다.

 

현실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한다는 것이 부정적으로 비춰지는 현실이 안타깝다. 그냥 잘 못 되는 방향으로 같이 가야만 하는 상황을 우리는 많이 보고 있다. 조직 생활에선 더 그렇다. 조심한다는 것이 그리 잘 못 된 것이 아니고 인류는 그렇게 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살고 있는데도 말이다.

 

조웰 오스틴, 마틴 셀리그만이란 이름을 많이 들었다. 그들의 책은 한 번도 읽어보진 않았다. 그렇게 그냥 믿는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든다. 아무리 봐도 그건 현실 외면이다. 이 책에서도 그것을 상당히 많이 언급하고 있다.

 

요새는 정말 너무나도 공동체적 의식과 개인의 삶이 파괴되었다. 그러다 보니 이런 류의 책들이 인기를 끄는 것 같다. 위로 받기와 자신감을 갖고 싶어한다. 하지만 그러기 전에 현실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해야 한다. 내가 실패하는 것이 꼭 나만의 문제 때문은 아니다. 내 생각은 사회구조적 문제가 더 크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