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살리는 아이디어 42가지 - 모순 속에 숨은 진주, 트리즈
송미정.김경철 지음 / 연합뉴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리즈에 대한 공부를 요새 나름하고 있는 중에 좀 쉬운 책을 봤다. 이 책은 트리즈의 전체계를 소개하진 않고 있다. 40가지 발명원리에 대해서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는 또는 알고 있는 예를 많이 소개하고 있다. 전체계를 다 소개하다보면 오히려 더욱 밋밋해 질 수 있는데, 오히려 40가지 원리만을 소개하면서 트리즈 입문서로서 더욱 괜찮아 보인다. 40가지 원리를 원문 그대로 옮기기 보단 우리가 이해하기 더욱 편한 말로 옮겨서 이해하기가 더욱 쉽게 배려했단 생각이 든다. 

트리즈의 핵심은 모순의 해결이다. 기술적인 문제, 자연적인 것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해결까지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내가 관심이 가는 분야는 사회적인 것이다. 기술적인 문제 해결 방법이 사회적인 문제 해결 방법에 어떻게 접목이 될 수 있을 지를 알고 싶다. 트리즈는 변증법을 핵심원리로 문제해결을 하는 이론이다. 구소련에서 발전된 것에는 이런 배경이 있다. 우리는 문제해결을 절충(최적화)하여 해소하려 하는데 트리즈는 절충이 아닌 모순을 드러내고 그것을 직접적으로 해소한다. 적당히 타협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적인 의미라면 계급 타협이 아닌 계급 타파라고 봐야 할 것 같다. 이런 방법들이 좀 더 대중화되면 우리의 적당히 타협하는 문화도 한층 해소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문제의 핵심을 외면하는 습관도 개선될 것으로 생각된다. 

트리즈에 대한 기본서로는 이 책 외에 "생각의 창의성  TRIZ" 를 추천하고 싶다. 이 책은 트리즈 전체계를 소개하고 있다. 교과서에 가까운 책이라 생각된다. 사회과학분야에서도 트리즈를 많이 도입해서 새로운 사회를 위한 대안제시에 활용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