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비즈니스 Untact Business - 100년의 비즈니스가 무너지다
박경수 지음 / 포르체 / 202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쓴 지 반년이 지나고 있다.

처음에는 '몇 개월만 있으면 물러가겠지' 했는데, 이제는 '평생 안고 살아야 할지 모른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여기저기서 쏟아지면서, 출판계도 발 빠르게 코로나 이후의 세상을 이야기한다.


한편으로 불확실한 세상에서 뭔가 정의를 해주는 책이 있어 다행이기도 하고, 이 내용들 중 내게 필요한 부분들을 뽑아 미래를 위해 준비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언택트는 이제 일상화가 되었다.

이는 새로운 변화에 새로운 사고방식이 요구된다는 의미다.

과거 인터넷이 등장한 후, 인터넷이 공기처럼 일상화된 것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언택트 시대,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무엇일까?"




1. 홈 블랙홀: 홈을 중심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화

2. 핑커 클릭: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급격한 전환과 디지털 라이프의 진화

3. 취향 콘텐츠: '취향'을 중심으로 이합집산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발달

4. 생산성 포커스: 비대면 중심의 기업 활동으로 인해 생산성 이슈 부각




먼저 눈에 띈 것은 '공유경제'의 몰락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버나 에어비앤비, 쏘카 등 '공유' 키워드가 경제에서 큰 이슈로 부상했었다.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도 여기에 투자를 많이 했는데, 투자의 귀재란 사람도 코로나의 재앙은 비껴가지 못했다.

그렇게 '공유'가 몰락하고, 대안으로 '구독'이 뜨면서, 아이가 쓰는 기저귀, 늘 마시는 물도 쿠팡에서 '구독'하고, 햄버거, 빨래 등도 구독 서비스를 시작하며 집으로 모든 것을 불러오는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리더쉽, 데이터, 고객 경험, 생산성

그리고

조직문화


아이들 교육법 책에도 보면 '유연한 사고를 하는 인재'가 변화무쌍한 미래에 필요한 인재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듯 발빠른 기업들은 조직문화를 유연하게 바꿔야 한다.

유례없는 변화의 물결 속에서 위기와 기회는 항상 공존하듯 침몰할 것인지 파도를 가르며 그 위로 올라탈 것인지 선택은 나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