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도시 - 대규모 전염병의 도전과 도시 문명의 미래
스티븐 존슨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코로나에 대한 공포가 조금씩 사라지면서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 사태처럼 바이러스로 인한 팬더믹은 시작에 불과하다는 얘기들이 많은데, 19세기 영국에서도 콜레라로 인한 바이러스가 번지면서 런던을 집어삼킨 경험이 있다.

그 섬뜩한 미궁 속에서 죽음의 경로를 밝힌 마취과 의사 '존 스노'의 이야기!

그리고 마침내 그가 완성한 감염 지도가 의학계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추적한다.


"생명의 매커니즘이 갑자기 억제되고 장액이 급속하게 빠져나간 육체는 축축하게 시든 살덩어리로 바뀌는데..."


분변이나 구토물,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는 콜레라.

당시 런던은 산업화로 인한 도시 과밀화가 진행되면서 인구 240만 명의 지구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

공중 보건 위생에 대한 개념이 없던 당시, 상하수도 시설은 열악했고 깨끗한 물을 구하기 어려운 빈민가도 여전히 많아 준비된 재앙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

존 스노는 콜레라와 관련한 역학조사를 하면서 수인성 감염에 대한 경로를 찾아내고 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문제의 펌프를 제거하며 역사적 반환점을 맞게 된다.


"펌프 손잡이 제거는 역사적 반환점에 해당하는 일이다."


이번 코로나 사태에서 질병관리본부가 굳건하게 중심을 잡아주었고, 국민들이 이에 동참하면서 우리나라는 상당히 성공적으로 사태가 마무리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세계 곳곳에서는 코로나가 극성이라 지구촌이란 말이 팬더믹으로 바뀌면서 예전의 상황으로는 돌아가지 못할 것이다.

이 책은 150년 전의 이야기이지만 논픽션인 만큼 현재를 사는 우리들에게 많은 점을 시사한다.

인간이 환경을 파괴하는 한 바이러스의 습격은 계속될 테지만, 다양한 학문적 연구와 기술 개발, 공유와 연대가 맞물린다면 다가올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져볼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