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수업 - 나와 세상의 경계를 허무는 9가지 질문
김헌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V의 강의 프로그램을 통해 익히 알고 있던 분이지만 김헌 교수님의 책을 읽는 것은 처음이었다.

그런데 강의만큼 역시 책도 가독성이 탁월하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바탕으로 철학과 우리의 인생을 잘 버무려 맛깔나는 한 편의 강의를 들은 기분이다.



우리 아이들은 글을 잘 알지 못할 때부터 AI스피커를 통해 자기들이 듣고 싶은 음악이나 이야기들을 찾았다.

그때 많이 들었던 이야기가 '그리스 로마 신화'였다.

그전에는 그 이야기에 별 관심이 없었는데 아이들 수준으로 각색된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신들이란 작자들은 도대체 인성이 글러 먹었구만!' 하고 혀를 찰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애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들려줘도 되는 건가 싶기도 하고...


"저는 그것이 인간의 본성이자 인생의 민낯이기도 하다는 말씀을 드리고는 합니다.(...)

그걸 읽다 보면 삶의 비참, 내 안의 악이나 어리석고 가식적인 군상, 폭력적인 역사 등 외면하고 싶은 진실을 마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에는 직면할 수밖에 없고, 또 직면해야 할 진실들이지요.

우리가 사는 세상이 아름답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위해 이토록 치열하게 사는가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망각될 것인가, 기억될 것인가'

이 부분에서 인상 깊었던 구절은 '죽음이 있는 삶'에 대한 긍정이었다.

많은 사람이 삶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죽음이란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데, 인간이 신들처럼 죽지도 않고 영원한 젊음을 누리며 산다면 그것이 과연 좋은 것인가?


우리에게는 죽음이란 유한한 인생이 있기에, 주어진 내 삶을 더욱 빛나고 아름다운 삶으로 만들기 위해 주인공인 시점에서 세상을 살아가야 한다는 것!

'내 인생의 주인공은 바로 나'라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했다.


교수님도 인생의 힘든 순간에서 돌파구를 찾지 못해 헤매고 있을 때, 프랑스 교수님께서 '책에 읽으라'는 조언을 주셨다고 한다.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지만, 사실 책을 많이 읽는다 해도 다 기억이 나는 것은 아니다. 하하하^^

그렇기에 이렇게 메모를 하기도 하고, 책 속의 여러 구절을 떠올리면서 내 인생에 비춰보기도 한다.



우리는 유한한 인생을 살기에 되도록이면 시행착오를 줄이고, 후회 없는 선택을 하기 위해 애쓴다.

그렇기에 책을 통해, 특히 고전을 통해 가장 유력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해답을 찾는 것은 오롯이 본인의 몫이기에, 같은 책을 읽더라도 사람마다 다른 감상이 나올 수 있다는 것 또한 독서의 묘미가 아닐까?

우리의 인생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이기에 아름다운 인생을 만들기 위한 각자의 방법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배워야 할 것이다.


"마음껏 질문을 던지십시오.

한때 우리는 모두 질문이 많던 사람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