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기율표를 읽는 시간 - 신비한 원소 사전
김병민 지음, 장홍제 감수 / 동아시아 / 2020년 4월
평점 :
고등학교 화학 시간에 열심히 외웠던 주기율표.
열심히 외우긴 했는데 도대체 뭐에 써먹는단 말인가! 이제는 기억도 안 나고...
그렇지만 '주기율표' 하면 뭔가 있어 보이는 느낌은 나만 그런가?!
현재 쓰이는 주기율표의 기초는 과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1834∼1907)가 마련한 것이라고 하는데, 과학이 발전하면서 지속적인 수정을 거쳤고, 그가 남겨놓은 '빈자리'에 채워질 원소들도 계속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주기율표를 사랑하는 또 한 사람.
『사이언스 빌리지』, 『슬기로운 화학생활』의 저자인 김병민 선생님을 통해 굉장히 신기하고 참신한 주기율표 책이 세상에 나왔다.
"화학은 미시세계와 그 메커니즘 사이를 메우고 있다.
그래서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세상이 왜 그렇게 작동할 수 밖에 없는지를 알려준다.
그 중심에 118개의 원소가 있고, 이 원소들이 만들어 가는 세상의 중심에 전자가 있다."
책을 받았는데 띠지가 좀 이상하다... 그래서 펼쳐봤더니 을 감싼 두툼한 띠지를 펼치면 안쪽에 예쁜 주기율표가 큼직하게 인쇄돼 있다.
책을 뒤집어 거꾸로 읽으면 각 원소를 관련 이미지와 함께 설명한 ‘신비한 원소 사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오호!


저걸 학생들 공부방 벽에 붙여놓으면 화학 공부가 좀 쉽게 되려나?
목차만 봐도 주기율표에 대한 애정이 듬뿍 들어가 있는데, 이 선생님께 화학을 배우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다.
왜 당시 우리 화학 선생님은 무조건 외우라고만 했을까? ㅠㅠ
"물질에 대한 이해를 가로막은 수많은 몰이해와 오류가 있었지만, 그 암흑기를 넘어 인류는 점점 물질을 알아가고 있다.
어제보다 오늘 더 많이, 그리고 오늘보다 내일은 더더욱 깊게."
우주와 별에 대한 인간의 동경이 이제는 우주에 로켓을 띄우는 세상으로 발전했는데, 이 주기율표를 통해 복잡한 세상과 우주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되기를...
"인간을 만든 재료는 우주를 만든 재료와 완전히 동일하다.
어떤 의미에서 우주를 이해한다는 것은 원소를 이해한다는 것이고, 이것은 결국 인간을 이해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