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순이 삼촌 현기영 중단편전집 1
현기영 지음 / 창비 / 2015년 3월
평점 :
판매중지


제주 4.3 사건.

이름은 들어봤지만 제대로 배우지도, 특별한 관심도 갖지 않았던... 뭔가 폭동이 일어났었나? 수준의 비루한 내 지식을 부끄럽게 만든 책을 만났다.

순.이.삼.촌


"6·25 터지기 두해 전 일, 그러니까 그건 전쟁이 아니라 죄익폭동 진압이었다.

폭동 진압에서 삼만이 죽었다니!"

<해룡 이야기>


1954년 제주도에서 죄 없는 민간인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그 숫자는 3만 명에 이른다니...

이는 한국 현대사에서 6·25전쟁 다음으로 커다란 인명 피해를 기록했다고 한다.

그런데 아직도 '항쟁'이니 '폭동'이니 엇갈린 지칭으로 무고한 사람들의 희생이 가려지고 은폐되고 있다.

진실은 무엇일까...



"산폭도가 양민 가운데 숨어 살기를 머릿니가 걸버시 헌 머리에 서캐 슬듯 하니 어느 하세월에 챙빗으로 굵은니며 가랑니며 서캐를 훑어내 잡을 것이냐.

아에 석유기름 붓고 머리칼을 홀랑 태워버리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거였다."

<도령마루의 까마귀>



읽으면서 이건 공권력에 의해 자행된 '대학살'임이 분명한데, 이 사건이 널리 퍼지지 못한 것은 사건 당시의 공포가 그들을 여전히 무겁게 누르고 있다는 방증이었다.

엄청난 비극으로 인해 피해를 본 사람 스스로가 이를 '운명이다', '천재지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가슴 아팠다.

이 일이 처음 비로소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바로 이 소설 '순이 삼촌'이라고 하는데, 작가가 7살 때 이 사건을 직접 겪었고 아버지를 잃었지만, 그 당시 너무나 흔한(!) 일이라 슬픔을 느낄 겨를도 없었다고 한다.

그러한 부분이 이 책에도 드러난다.



"중호가 지금도 아버지에 대해서는 그저 무덤덤하게만 느껴지는 것은 그 죽음이 아버지에게만 닥친 특별난 것이 아니라, 이렇게 흔하디흔한 젊은 죽음들 중 하나라는 생각 때문이리라."

<해룡 이야기>


이런 제주도의 슬픈 사연을 표제작 '순이 삼촌'을 통해 우리에게 전해준다.

순이 삼촌은 남편과 자식이 죽임을 당한 학살 현장에서 살아남아 평생 환청과 신경쇠약에 시달리다 결국은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한 여인의 비극적인 삶을 담았다. 살아남은 사람들도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제대로 된 삶을 살아내지 못했다는 현실에...

읽는 내내 이것이 그냥 소설이었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우리의 역사에 남아있는 현실의 한 부분이었고, 올해가 제주 4.3 사건의 72주년인 만큼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 우리는 역사를 바로 알고 진실 앞에 마주 설 용기를 내야 할 것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