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않는다는 말
김연수 지음 / 마음의숲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긴다는 것과 진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이긴다는 것은 

게임에서 이기는 것, 가위바위보에서 이기는 것처럼

정해진 룰 안에서 다른 사람을 제치고 내가 그 안에서 승자가 되는 것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을 내가 갖는 것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긴장된 순간을 견뎌야 하고

게임이 끝나고 승리가 결정된 후에야 안도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진다는 것은

그냥 생각했을 때, 이기지 못했다는 것

원하는 걸 얻지 못하거나 손해를 입어야 할 수도 있고

승부욕이 강한 사람에게는 낙담과 실망을 안겨줄 수도 있는 것

질수도 있지만, 한 번 지고난 후에는 

두 주먹 불끈 쥐고 다음번엔 꼭 이기리라 다짐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모두

꼭 이겨야 한다는 강박에 사로잡혀 있는지도 모른다.

스포츠 경기에서  이겨야 하고

입시 경쟁에서 이겨야 하고

크고 작은 게임과 내기에서 이겨햐 하며

나아가 나 자신과의 싸움에서도 이겨야 한다고 믿고 있다.


 

이기지 않는 것이 

꼭 지는 건 아니라고 말한다면 어떨까

내가 진 줄 알았는데

그건 진게 아니라고 누군가 말해준다면 어떨까

이기지 않으면서

지지도 않는 방법은 없을까?


 

<지지 않는다는 말>의 저자는 스스로 달리기를 하면서 얻은 깨달음과

지지 않는다는 것이 꼭 이긴다는 걸 뜻하지만은 않는다는 착안에서

책 안에 이야기들을 풀어놓았다. 

한 문장 한 문장 따라가며 책을 읽다보면

책을 다 읽었다고 해서 누구를 이기지도 않았고, 지지도 않는다.

책을 다 읽고 내 안에 생긴 깨달음에 미소짓는 내가 있을 뿐이다.



 

이제는 이기는 것과 진다는 것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늘 이겨야 한다고 나를 몰아붙이기 보다

좀 더 기쁜 마음으로 한 발짝 한 발짝 나를 움직일 수 있다면 좋겠다.

그 한걸음 한걸음에 인생의 의미가 있고 

그 모든 걸음들이 내가 가장 원하는 곳으로 데려다 준다면

누군가를 제치지 않고서도 지지 않을 수 있을테니까 말이다.

 


 


" 처음 대회에 참가해 결승점에 들어갔을 때의 일이었다. 참으로 부끄러운 기록으로 뛰는 둥 마는 둥 고개를 푹 숙인 채 경기장 초입으로 접어드니 길 양옆으로 우리가 들어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던 가족들이 늘어서 있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내 꼴을 보고 있구나, 그런 부끄런 마음이 드는 순간 정말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얼굴도 모르는 그 사람들이 내게 박수를 치면서 이제 조금만 가면 된다고 격력해 주는 것이었다. 그 환호를 대하자마자 내 등이 쭉 펴지면서 온몸에 생기가 도는 게 느껴졌다. 누가 봤다면 곧 세계신기록으로 결승점을 통과하려는 선수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달리기를 통해서 내가 깨닫게 된 일들은 수없이 많다. 뛰어볼까 하는 생각이 드는 바로 그 순간이 달리기를 하기에는 제일 쫗은 때다, 아무리 천천히 뛴다고 해도 빨리 걷는 것보다는 천천히 뛰는 편이 더 빠르다, 앞에서 누군가 사진기를 들고 달리는 사람들을 찍고 있다면, 아무리 힘들더라도 등을 곧추세우고 웃어야만 한다(안 그러면 반라 차림에 일그러진 얼굴로 괴로워하는 사진이 인터넷을 떠돌지도 모른다) 등등등.

 그중 내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건 지지 않는다는 말이 반드시 이긴다는 걸 뜻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깨달음이었다. 지지 않는다는 건 결승점까지 가면 내게 환호를 보낼 수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안다는 뜻이다. 아무도 이기지 않았건만, 나는 누구에게도 지지 않았다. 그 깨달음이 내 인생을 바꿨다." (김연수, <지지 않는다는 말> 작가의 말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침대 바로 옆에 두고 밤이면 꺼내 읽고 싶은 책들이 생겼다. 


바로 이동진의 <밤은 책이다>와 이다혜의 <책읽기 좋은날>.


둘 다 저자가 읽은 책들의 소개와 의미를 되새기는 리뷰가 담겨 있다.


한꺼번에 다 먹을 수 없어 조금씩 꺼내 먹는 쵸콜렛이나 마시멜로우처럼


밤마다 책읽기의 즐거움을 함께 누리게 해줄 이 책들이 기대된다.








8962604205_1.jpg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책읽기 좋은 날- 씨네21 이다혜 기자의 전망 없는 밤을 위한 명랑독서기
이다혜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9월
13,000원 → 11,700원(10%할인) / 마일리지 650원(5% 적립)
2014년 10월 09일에 저장
품절

밤은 책이다- 시간과 연민, 사랑에 대하여 이동진과 함께 읽는 책들
이동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12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7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4년 10월 09일에 저장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청춘의 문장들+ - <청춘의 문장들> 10년, 그 시간을 쓰고 말하다 청춘의 문장들
김연수 지음, 금정연 대담 / 마음산책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내가 알기론 여행이란 시간을 가장 잘 아끼는 방법이다. 여행만큼 그 시간을 짙게 추억할 수 있는 일이 또 있을까. 시간이 아무리 많이 흘러도 여행을 했을 그 시간의 느낌, 함께 했던 사람, 생생하거나 어렴풋하게나마 떠오르는 크고 작은 일들은 나도 모르게 마음 한 켠에 있는 추억의 창고에 쌓여 있다. 이 창고에 쌓여 있는 기억들이야말로 영혼을 풍요롭게 해주는 재산이지만, 살면서 원하는만큼 마음껏 여행을 떠나기란 쉽지만은 않다. 

올가을, 9년 전 친구와 함께 갔었던 부산에 또다시 다녀왔다. 부산영화제가 열리는 시기라는 핑계를 댄 두번째 부산 여행이 9년만이라니. 세상에. 그 시간들은 어떻게 흘러온 것일까. 약 10년이란 시간이 지났다는 이야기다. 10년의 시간이란 무얼 말해주는 걸까.
서울에서 부산까지 나와 함께 한 <청춘의 문장들+> 역시 10년 전에 이 책을 쓴 지은이와의 대담이 담겨 있다. 첫 청춘의 문장들이 나온 이후 이 책의 제목처럼 청춘이라는 것에 대해, 또 문장들, 즉 글쓰기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그러니까 이 책은 10년, 청춘, 우연과 재능과 간절함, 직업, 소설, 불안, 점점 나아진다는 것, 책을 읽는다는 것, 치유, 다시 10년이라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책을 읽는 동안 함께 10년을 여행하게 한다.  
나에게 당신에게 우리 모두에게 청춘이란 어떤 시간일까. 청춘을 돌이켜 볼 때 불안과 기쁨과 슬픔과 행복, 눈물과 웃음 그 밖에 또 무엇이 우리의 청춘을 말해줄 수 있을까. 그게 궁금한 사람이라면 김연수 작가의 10년을 곱씹는 문장들과 함께 청춘의 시간 여행을 떠나보기를 권한다. 특히나 문장이라는 것에 마음이 매혹된 청춘을 보낸 사람이라면. 내 마음을 말해주는 한 문장이라도 발견하기를 바라는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을 여행하길 바란다. 

“청춘이란 그런것이니까요. 너무 잘 살아보려고 하지 마세요. 그런 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사람들에게나 어울리는 거잖아요. 젊었을 때는 천 년을 살 수 있는 사람처럼 살았으면 해요. 하고 싶은 거 다하고, 보고 싶은 거 다 보고요. 하지만 그런 낮을 보낸 날에도 밤은 어김없이 찾아올 것이고, 그 밤에 대개 우리는 혼자겠죠. 그럼 밤이면 아마 시간이 너무 많아서 버겁다는 생각이 들기도 할 거예요. 맞아요. 그래서 청춘은 무거워요. 빨리 늙었으면 싶기도 하고요. 그럴 때 저는 저보다 먼저 살았던 사람들의 책을 읽었어요. 그러다가 마음이 동하면 잘 알지도 못하는 문장들에 줄을 그었죠. 그렇게 책에다 몇 번 밑줄을 긋다가 잠들고 나면, 또 새로운 날이 시작됏죠. 역시 어마어마하게 많이 남은 나날 중의 첫 번째 날. 누군가에게 <청춘의 문장들>은 그 새로운 날에 돌이켜보는, 지난밤의 밑줄 그은 문장 같은 것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어떻게든 시간은 흘러간다는 건 변하지 않는다. 우리의 청춘이 훌륭하고 완벽하지 못한 건 어쩌면 다행인지 모른다. 그러기에 지난 청춘의 시간들을 더 사랑할 수 있는 게 아닐까.
청춘. 우리 정말 사랑하긴 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01-A751847555 마음으로 공감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