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의 심리학 - 자신감과 열등감 사이에서 방황하는 당신을 위한 심리분석 마인드 북스 4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강희진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에게 꾸준히 관심을 받는 책을 보면 거기엔 심리학 관련 책이 항상 있는 것 같아요. 책 제목에서 '여성'의 심리학이길래..과연 어떤 내용을 말하고 있을까, 여자라는 사람은 무언가 다를까?라는 호기심에 책을 열어봤죠. 다소 두텁긴 합니다. 처음에는 쉬이 말하고 있어서 집중하기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논문을 요약, 짜깁기한 것처럼 다소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있더라구요 ^^ 인용과 우화를 예를 들 때는 파랑 글씨로 처리해 주고 있어서 보기에는 편했어요.

전 평소에 '여자'로 태어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답니다. 예쁘게 얼굴을 가꾸고 멋을 내는 게 여자에겐 관대하고, 자연스레 그러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니 내자신을 가꾼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입니까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것은 여성의 외모와 관련된 상처와 아픔을 다루고 있어요. 처음 부분에서는 폭식증과 거식증과 관련해 설명을 하고 있는데 제가 겪고 있지는 않아서인지 다소 거부감이 들긴 했습니다만 사회에서 여자의 외모와 능력을 판단하는 이중잣대에 관한 사회적 이슈가 크다 보니 이 문제가 겉모습에 치중한 사회와  가정에서 자라는 어린 시절에 겪은 상처가 그런 결과를 끌어내고 있더군요.
축복받지 못한 아이, 내성적인 아이, 애정결핍으로 인해 어린 여자아이들은 '내가 예뻐야지만 사랑과 관심을 받을 수 있어, 왜냐하면...난.....못나고, 못생기고, 못된 아이니까' 라는 비뚤어진 마음가짐으로 먹고 토해냄으로써 자기 미적기준에 충실해야 하고 남들에게 자신감이 충만한 여자로 보여질수록 속은 더 여리고 다른사람들과의 관계에 힘들어한다는 것을..

화려하고 멋진 여성이 남자친구와의 관계도 순탄치 못해 나 자신의 존재에 대한 존중을 바라면서자존심을 세우고 상처를 주고 받는 상황도 읽는 내내 가슴 한켠이 아리더라구요.
여기서 내세우는 여성은 '자기애적 인격 장애'를 가진 여자들이랍니다. 사랑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외모에 신경을 쓰고 자신의 존재감에 대한 집착으로 '거짓 자아'를 내세우죠. 사랑받고 싶으면서도 거부하고, 도움을 청하고 싶어도 도도하게 얼굴을 들고, 아프면서도 아무렇지도 않는 척하는 자아요.

이 사회가 원하는 여성이 되기 위해선 너무 가혹하고 그 기준에 맞춰살긴 어렵고, 어렵다...라는 어느 사회학자의 말처럼 10초 안에 결정되는 첫인상부터 외적인 면이 부각되고 이익을 보는 사이에 거짓된 얼굴로 마음이 새까맣게 타들어 가면서 있을 우리의 여성들을 많이 보듬어 줬으면 합니다. 축복받지 못하는 삶이라고한들 그 삶의 과정에서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는 여전하지 않나요.

나를 가꾸고, 마음을 가꾸고, 머리를 채우며 나 자신을 사랑합시다. 저또한 제 자신을 그 누구보다 사랑합니다. 내가 아껴야 내 존재가 감사하고 소중하지 않을까요? 누구에게나 마음의 병, 컴플렉스는 있으니 그점을 너무 마음쓰지 않았으면 합니다. 여러분, 오늘 하루도...행복하게 살자구요.thanks to 함께해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