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은 반역인가 - 우리 번역 문화에 대한 체험적 보고서
박상익 지음 / 푸른역사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제가 공부하는 건 교수님들도 말씀하시듯 '우리는 역사라는 과목도 배우지만, 외국어라는 또다른 공부도 할 수 있다, 꼭 해야만 한다.' 그래서인지도 모르지만 번역, 원서, 사료와 관련된 것에 민감하긴 합니다. 맞춤법도 그러하구요.
중국사이든 프랑스사이든  우선 외국어를 할 줄 알아야 사료와 참고도서를 보기 쉽거든요. 그러면서 국내에 나와 있는 책들을 도서관에서 빌리거나 사서 보면 내가 아는 내용, 단어인데도 불구하고 다르게 표기 돼 있거나 문장이 매끄럽게 넘어가지 않을 때면 '내가 잘못 알았구나' 라고 넘어가기 일쑤였는데 그게 꼭 제탓만은 아닌 듯 하네요 ^^

우선 이런 글을 쓴 박상익 선생님의 용기가 대단합니다. 지인 분들도 책 하나씩은 냈을 법한 학자이실 것이고 박상익 선생님도 번역을 하고 있으신 바, 번역과 관련 돼 있는 잘못된 관행, 풍토를 지적한다는 것은 '알 거 다 아는 사람이 저리 쓸 수 있을까', 라는 원망부터 '너는 얼마나 잘했길래 저리 쓸 수 있냐, 앞으로 어떻게 하냐 두고보자'는 식의 비판도 들으실 텐데...말입니다.
여기 책 제목처럼 번역과 관련되어 있는 문제를 서술하기도 하지만 우리 학계가 갖고 있는 지식 기반의 부족, 전문성 결여, 출판사와의 관계 덕택에 수많은 양서들이 번역되지 못하거나 오역투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번역이라는 것이 잘 나가던 아랍을 뒤쳐졌던 서구가 따라잡기 위한 방편으로 시작했다는 일은 저에게는 흔한 얘기지만 독자들에겐 신선한 충격이었을 듯 합니다. 이와 더불어 일본은 근대 사회로 들어가면서 그들의 물질과 더불어 비물질적인 것까지 그들만의 언어와 그들만의 표현으로 번역, 그것을 그대로 우리는 따라할 뿐이라는 것을 언제 국어사전과 관련 돼 있는 세미나를 들으면서 알게 된 거였거든요. 이 책에서 그 문제를 첫 챕터에 짚고 넘어 가고 있는데 한국은 과연 문화 후진국이 맞는가, 라는 생각에 소름이 돋기도 했어요. 자유, 평등, 평화, 민주주의 등등 우리가 자주 쓰는 말의 대부분이 '수입한 언어'라니까...
책이 담고 있는 언어의 풍부함이 우리는 답보상태라는 것을..

책을 번역하는 것은 직역해야하는 것이냐, 제2의 창작처럼 의역해야하는 것이냐 그 둘의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번역한다는 그 자체가 존중 받아야 하며 그 일도 수고스럽다는 인식이 아직 한국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듯 합니다. 전 사실 책 편식이 심하거든요. 소설,수필류는 거의 쳐다보지도 않아서 번역 돼 있는 책이 제 책의 70%정도인데 이젠 출판사 따라, 번역자 따라 책을 고를 줄도  아는 재주(?)가 생겼을만큼 그분들의 노력은 대단하다고 생각하거든요. 특히 최애리 선생님이나 이희재 선생님이 번역하신 책은 거의 있답니다. 믿고 읽을 수가 있거든요. 물론 오역을 발견했을 때 패닉상태이긴 했지만 ^^ 박상익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것처럼 내 분야가 아니면 그 분야에 공부하는 사람에게 물어봐야 합니다. 그러한 작은 수고도 없이 책을 옮긴다는 것 자체가 책임감 상실이요, 책 읽는 사람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없는 것이지요.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는 저에게 도서관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시는 것도 흥미로웠어요. 최고의 시설보다 양서가 많아야 할 도서관이 책을 구걸한다는 말에 안타깝기고 했고 출판사의 편집자들이 무슨 일을 하고 오역투성의 원고를 받으면서 겪는 스트레스는 미처 생각지 못했던 거였거든요. 박상익 선생님도 저처럼 플래티늄 등급을 유지하기도 하고, 책을 지르는 건 절대 과소비가 아니지!! 하는 점이 같아서 놀랐어요. ㅎㅎ 교수님도 책 지름은 어쩔 수 없으시구나, 하구요 ^^

양서를 한국어로 읽는다는 것은 번역하는 자가 얼마나 성실히, 노력을 기울여서 만들어지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책을 그들 덕택에 내가 그나마 쉬이 읽을 수 있으니까요. 
오역이 많은 책을 읽었을 때의 기분을 아신다면요. thanks to 함께해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