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크의 시대
이진우 지음 / 다산스마트에듀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듀테크의 시대는 '교육에 기술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책이다. 수년 전부터 서서히 교실 안으로 들어선 스마트 기기는 코로나 19를 기점으로 더욱 빠르게 보급되었는데 이는 교육 현장에 혼란을 주었다. 교사들은 기술이 익숙치 않았고 적용해야 할 이유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채 기술을 떠안았다. 때문에 변화된 교육의 목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수단으로서의 기술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었고 저자는 교육 종사자, 교육에 관심이 있는 자 등을 위해 이 책의 저술을 시작했다.


저자는 기존의 인적 자원 공급 목적의 교육에서 이제는 기술을 통해 사람 중심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에는 생존을 위해 교육을 활용했다면 이제는 학생 개인에 집중해 기술을 통해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학생 스스로 자신을 발견하고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는 국내외에서 약 10년 간의 공교육 경험을 녹여 공교육에 기술을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설명한다. 이때 풍부한 시각 자료, 사례, 통계 수치 등을 활용해 독자가 이해하기 쉽고 교육 시장의 현황을 흐름에 따라 이해하기 편하게 구성했다.


저자는 기술이 교육에 있어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기술의 접근이 최소화 되어야 하는 분야가 있으며, 사람과 기술이 함께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며 나아가야 함을 강조한다. 이에 저자는 '전인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을 설명하며 학교의 역할이 결국 사람과 사람의 상호작용에 있음을 강조한다.

이 책은 현재 교육에 종사하고 있거나, 교육에 종사할 예정이거나, 에듀테크 산업 및 교육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 누구나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공교육의 붕괴'에 따른 공교육 분야의 변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는 목소리가 많아진 최근, 이 책과 함께 에듀테크 시대를 고민하고 그 속에서 자신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다.



포인트!


1) 풍부한 시각 자료와 통계 수치, 사례

저자가 오랜 기간 국내외 공교육 분야를 경험한 만큼 관련 사례와 시각 자료, 통계 수치 등이 풍부하다. 단순한 자료 삽입 외에도 그에 대한 저자의 해석과 시각이 담겨 있어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했다.

2) 읽기 편한 구성-큰 글씨와 포인트 색상=파란색!

책이 꽤 두꺼워 처음에는 다 읽을 수 있을지 걱정이 많았다. 그러나 책을 펼쳐보면 글씨 크기가 눈에 잘 들어오는 적당하게 큰 글씨임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인트 색상을 파란색으로 정해 읽는 동안 눈이 편안하다. 하루 딱 잡고 읽기 좋은 책!

3) 교육 팁까지!

이 책은 흐름이 잘 잡혀있다. 교육의 현재와 기술의 정의부터 기술 접목의 필요성, 방법, 주의점, 개선점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담았다. 때문에 한 호흡으로 읽기 좋다. 좋았던 점은 기술 적용의 필요성 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따른 주의점과 주의점을 극복할 팁까지 함께 서술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을 담았다는 점이다.

우리는 최대한 ‘인간‘다워져야 하고 ‘나‘다워져야 한다. 우리 모두가 고유한 존재라는 것은 신이 주신 놀라운 선물이다. 교육은 인간의 본성을 깨워야 하고, 각 개인의 특성을 발견하고 성장시켜야 한다. 이것이 미래 교육의 주된 목적이 되어야 한다. - P65

기술적 도구가 교육에 사용될수록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의 물리적 접촉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진다. (중략) 학교는 수업과 시험이 있어서 힘든 곳이었지만, 함께 떠들던 친구들과 때때로 머리를 쓰다듬으며 칭찬해주시던 선생님이 있어 따뜻한 곳이었고 가고 싶은 곳이었다. (중략) 성장의 순간에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상호작용을 일으키게 하는 학교의 역할은 지켜져야 한다. - P3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