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건강하려면 운동하지 마라 - 미래의 건강 상식, 림프 케어 건강법
사토 세이지 지음, 김정환 옮김 / 끌리는책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리뷰] 진짜 건강하려면 운동하지 마라 몸이 괴로우면 마음도 괴롭다.

저자는 항간에 떠도는 농담을 진심으로 풀이했다. 흔히 이런 말을 한다. “돈 주고 살찌워서 뭣하러 돈주고 빼냐?” 내가 이런 다는 것이다. 굳이 운동을 하지 않는다. 배는 나오고 근육량은 적지만 그리 불편하지 않다.

저자는 격렬한 운동은 근육을 경직시킨다고 한다. 또한 스트레칭은 근육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행위라고 한다. 스트레칭을 할수록 근육은 수축되어 더 딱딱해진다고 한다. 뭉친 근육을 풀기 위해 마사지를 받기도 한다. 마사지를 받을 때 아프면서 시원한 느낌을 받는다. 근육을 눌러서 압력을 가하면 근막이 파괴되고 근섬유도 끊어진다고 한다. 근막과 근섬유를 손상시켰으니 통증이 생기는 게 당연하다. 이것이 아픔 속의 쾌감이라고 한다. 근섬유는 재생하면 전보다 딱딱해지는 성질이 있다고 한다. 이런 무한루프가 생기지 않아야겠지.

저자는 우리 몸은 뼈가 아닌 근육으로 지탱한다고 했다. 이는 단연한 이야기 같다. 몸을 페트병에 비유한 저자는 우리 몸에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를 강()이라고 한다. 강에는 구강, 흉강, 복강이 있다.

저자는 강()이 찌그러지면 몸에 부담을 주기에 바른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했다. 올바르게 서는 법, 올바르게 앉는 법, 올바르게 걷는 법을 통해 몸에 부담을 적게 주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근육의 상태를 이야기할 때 수축한 근육은 쥐어짠 물수건에 비유했다. 물수건을 비틀어서 짠 후 물에 넣으면 수분이 들어갈 틈이 없어서 물을 빨아들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는 딱딱해진 근육이 펌프 활동을 하지 못해 림프를 흡수하지 못하는 이치와 같다. 따라서 저자는 느슨한 물수건을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는 근육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느슨하다는 것은 수축이 아니다. 처짐과 주름의 원인은 피부가 아니라 근육에 있다. 따라서 근육을 부풀리면 피부의 탱탱함이 살아난다고 한다. 근육을 느슨하게 하는 방법은 근육을 흔드는 것이다.

분명한 사실은 미약한 자극이 혈관과 림프관의 세포에 일산화질소를 분비시킨다는 점이다. 일산화질소는 좋은 활성산소의 일종으로, 혈관과 림프관을 넓히는 작용을 한다. 요컨대 부드럽게 어루만져주면 혈액과 림프의 흐름이 촉진되어 체액의 순환이 좋아진다.” ( p 131 )

근육이 느슨해지는 8가지 조건에는 가볍게 만진다 흔든다 힘을 넣어서 힘을 뺀다 숨을 내쉰균형을 잡는다 동기 동조를 이용한다 부드러운 말을 사용한다 주무르지 않는다. 누르지 않는다. 잡아당기지 않는다 등이다.

저자는 림프가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몸을 관리하라고 조언한다. 책에는 여러 자세와 행동을 따라 하도록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자가 말하는 운동은 몸에 무리를 주면서 하는 운동이 아닌 몸이 받아들이고 체내 기류 흐름을 잘 이용하는 운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