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저항력이다 - 무기력보다 더 강력한 인생 장벽
박경숙 지음 / 와이즈베리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리뷰] 문제는 저항력이다. – 내 속엔 내가 아닌 내가 있다.

내일부터는 다이어트 해야지!’, ‘내일부터는 금연해야지’, ‘운동하면서 건강에 신경써야지하면서 나와의 약속 또는 다짐을 한다. 그런데 3일을 넘지 못한다. 3일이 먼가 3시간도 안되어 자신과의 약속을 깨뜨린다.

왜 그럴까? 책에서는 저항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한다. 저자도 인지과학의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이다. KAIST 김대식 교수는 약속하는 나행동하는 나가 다르기에 자신과의 약속이 힘들다고 한다. 우리 뇌는 허상을 잘 만들어 낸다. 결국 이런 허상과의 약속이기에 자신과의 약속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저항력은 무엇일까? ‘심리적인 힘이 있는데도 그 힘을 하고자 하는 일이 아닌, 오히려 자신을 막는 데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문장을 저항력이라고 본다면, 김대식 교수의 이야기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 김대식 교수는 뇌의 허상으로 만들어진 약속 하는 자와 행동하는 자의 차이를 말한다. 결국 허상과의 약속이기에 내가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심리적으로 행할 수 있는데 자신이 막는다고 했다.

자신이 자신을 막는데 어떤 이유가 있지 않을까? 가령,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을 하자면서 담배를 피우는 경우가 있다. 왜 그럴까? 이 경우 금연보다 흡연이 뇌가 느끼는 쾌락이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뇌는 행하면 즐겁고 재미있는 일은 지속적으로 하라고 시키고, 행동을 해서 재미가 없다고 생각되면 행동을 내리지 않는다고 한다. 조금 편한 일, 재미있는 일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런 의미가 아닐까?

이런 생각을 곱씹으면서 다시금 저항력이란 단어를 떠올리니, 하고 싶지 않은 일, 해야 하지만 귀찮은 일 등은 뇌의 저항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런 저항을 극복해야 하는 것이 의지가 아닐까 한다. 의지 박약인 나로서는 저항력>의지의 부등호가 되어버린다.

중학교 기술 시간에 라디오를 만든 적이 있다. 전류의 세기가 크면 이를 줄여줄 수 있게 저항을 중간에 설치했다. 그래야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니까. 저항이란 힘의 세기뿐 아니라 의지의 세기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순기능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물론 저자의 생각과 다를 수 있다.

저자가 저항을 말하는 것은 우리가 갖고 있는 의지를 믿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내적 갈등과 외적 갈등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다툼을 할 수 있는 것은 저항과 의지가 적절한 균형을 맞추고 있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

나는 오늘도 저항과 의지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하는 균형 잡힌 하나의 인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