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설계도, 게놈 - 23장에 담긴 인간의 자서전
매트 리들리 지음, 하영미.전성수.이동희 옮김 / 반니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리뷰] 생명설계도, 게놈 인간의 삶은 결정되어 있는 것일까?

게놈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염색체이다. 1번부터 23번까지 개불(?)처럼 생긴 모양을 하고 있다. 이런 모양을 한 염색체들이 인간의 모든 정보를 갖고 있다고 한다. 성격, 외모, 혈액형, 기억 등 인간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그리고 인간답다라고 생각되는 단어들은 모두 이 염색체들이 갖고 있는 것이다.

게놈은 DNA에 저장되어 있다고 한다. DNA를 떠올리면 나선형구조로 빙글빙글 돌아가는 모습이 떠오른다. 어디서나 이런 모양으로 DNA를 설명하니까.

작년 최재천 교수의 강연에서 우리의 DNA는 우리의 조상에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고 했다. 부모의 X, Y 염색체를 물려받았기에 이를 추적하면 본래의 DNA를 찾을 수 있다고. 어쩌면 우리 인간이라는 종은 DNA에 의해 실험을 당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결정론적 시각을 이야기하는 분도 있었다. 인간은 죽지만 DNA는 자식에게 영원히 물려지기 때문이다.

책은 좀 난해했다. 전문용어가 많이 나와서 생물학(?), 유전학(?) 등에 취약한 나로서는 이해하는데 좀 애를 먹었다. 요약을 잘하는 것은 책을 잘 읽었다고 하는데, 이 책을 요약하기 힘드니 책을 잘 못 읽었다고 본다.

질병을 설명하는 9번 염색체에서 이 부분은 의미가 있었다.

“A 유전자는 B 보다 콜레라에 강하다. AA를 가진 아이들은 BB보다 더 많이 살아남게 된다. 그러면 B형은 도태될 것이다. 그것이 자연의 선택이다. 그러나 그렇게 되지 않는 것은 AB가 가장 많이 살아남기 때문이다. 즉 가장 건강한 아이는 AABB를 가진 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이다. 이들 모두 AB형이고 콜레라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강하다. 만약 ABAB와 결혼한다면 반수의 자녀들이 AB형이고 나머지 반은 AA BB를 가진다. BB는 가장 약한 타입니다. 이상하게 세계는 행운이 꼬인 것 같다. 가장 이로운 조합을 가진 사람에게서 확실히 약한 자손이 생겨나게 되었으니 말이다.” ( p 180 )

콜라레에 민감한 O형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말라리아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다. O형은 다른 형에 비해서 말라리아에 저항성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보면 각 혈액형마다 저항력과 생존하는 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특정 질병에 약하다고 해서 그 혈액형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한 세대에는 조금 줄어들 수는 있으나, 그 후대에는 다시금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입장이 아니라 DNA의 입장에서 세상을 보는 것이다. 이들은 한 세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생명의 삶에서 유전적 균형(?)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해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생명결정론적 시각에서 게놈을 봐야 할까? 한 강연에서는 그랬다. DNA에 의해서 우리의 23개 염색체는 각기 고유한 성질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만이 공존을 하고 자신의 결정된 운명(DNA에 의해서 결정된)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존재라고.

요즘 우주와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어찌되었던 나도 한 입장에서 보면 이 우주와 인공지능을 이해하기에 앞서 나 자신을 잘 이해해야 이들이 보일 것 같았다. 게놈을 읽으면 나에 대해 그리고 인간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 분야에 기본지식이 없어서인지 읽기엔 좀 버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