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간이 마음을 살린다 - 행복한 공간을 위한 심리학
에스더 M. 스턴버그 지음, 서영조 옮김, 정재승 감수 / 더퀘스트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매일 매일을 전쟁같이 사는 우리에게 휴식은 그리 자주 찾아오지 않죠. 주중엔
열심히 일하고 주말이 되면 쉬긴 하지만 이 또한 금방 지나갑니다. 이런 일상보다 더 힘든 것은 시련이
찾아왔을 때입니다. 일상을 꾸역꾸역 살아가면서 상처를 치유하기는 상당히 힘이 듭니다. 이럴 땐 어디로든 떠나고 싶죠. 떠남은 돌아오기 위함이지만, 이 당시에는 다시 돌아오기를 기대하기 보단 ‘떠남’ 그 자체가 치유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전기적인 신호로 작동한다고 합니다. 이 전류가 강하면 20와트의 전구를 밝힐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 뇌의 여러 전기
신호로 우리 몸에는 호르몬이 붐비됩니다. 이로 인해 감정을 느끼고 행동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사람의 마음도 호르몬으로 치유가 가능하지 않을까요?
이런 말을 하지만 웬지 좀 이상하게 들리네요. 뇌의 작용으로 호르몬과
성격, 언행을 하지만 이렇게 본다면 인간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움직이는 하나의 개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일상을 다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요즘은 아주 대중화된
커피하우스. 커피를 마시기 위해 커피하우스에 들어가서 주문을 하고 앉을 장소를 정합니다. 그런데 희안한 점은 한 번 앉으면 그 자리를 고집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저
자리에 앉으면 생각도 잘되고, 책도 잘 읽히고 글도 잘 써집니다. 왜
그럴까요?
아마 그 장소는 나에게 최적화된 장소가 아닐까요? 커피하우스에는
커피 냄새가 퍼져 있지만 각 자리마다 냄새의 밀도는 다르겠죠? 커피 냄새가 진한 곳이 있고 약간 연하게
나는 곳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 코는 오른쪽, 왼쪽에서 이
냄새의 밀도를 구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기에 나에게 안정감을 주는 냄새의 밀도를 정하고,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시야를 방해할 수 있기에 시야를 방해 받지 않는 장소 등도 고려해서 자리를 정하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상의 자리도 이렇지만 여행하는 장소도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여행을
할 때의 낯섦은 일종의 스트레스일 수 있습니다. 이 스트레스는 일상의 스트레스와는 다를 것입니다. 그런데 낯선 장소에 여러 번 가면 익숙합니다. 책에서는 미로를 찾는
경우를 들고 있습니다. 미로에서 길을 찾기 위해 스트레스가 심하지만,
연습을 통해 이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여행이 연습은 아니겠지만 우리가 같은
장소를 여러 번 인지하게 되면 낯섦보다는 익숙함이 오기에 여행에서의 스트레스는 줄어들겠지만, 여행이
주는 좋은 긴장감을 사라들게 됩니다.
군중 속의 고독이라고 하죠. 이런 일상에서의 가장 큰 스트레스는
고독이라고 합니다. 과학적으로 생체학적으로 우리의 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도 알아야겠지만, 때로는 그냥 아무것도 모른채 웃고 떠드는 시간이 마음을 즐겁게 하는 시간이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