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의 멍청이들 - 일이 힘든가? 사람이 힘들지! 꼴통들 때문에 회사 가기 싫은 당신에게!
켄 로이드 지음, 임지은 옮김 / 길벗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북리뷰] 사무실의 멍청이들

또라이 질량 보존의 법칙이 다시금 생각난다. 회사에는 왜 일케 또라이가 많은 것인지 궁금할 때가 있다. 자기 일은 안하고 다른 부서에 마실 다니는 확성기 같은 사람들, 상사이긴한데 상사인지 아닌지 분간이 안되는 사람들, 이젠 막내가 아니라고 다행히 여기면 신입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나? 그렇다고 다른 직장이 빨리 구해지는 것도 아니고.

이직하려고 면접을 보면 왜 이렇게 이직이 많은지 물어본다. 장단점이 될 수 있는 상황을 면접관의 고정관념으로 나를 바라본다. 그때 속으로 이런 말이 나온다. ‘그래~ 너 같은 인간들 때문에 그만둔거다. 이 자식아!!!’ 그래도 뭐 일단 면접이니 나를 잘 알리는 수 밖에 다른 방법이 없잖나.

회사를 들어가도 문제고,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중간에도 문제다. 이 책은 이런 이야기를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보통 책을 읽을 때 저자가 어느 국적인지 안보고 읽기에 이 책을 보던 중 다시 표지로 돌아와서 저자가 누구지? 라는 의문이 들었다.

그래~ 이 책의 저자는 우리나라 사람이 아니다!!! !!! 아니라고!!! 상황 상황별 대안을 제시하는데, 어떨 때는 돌직구고 어떨 때는 변화구다. 그런데 대부분 이 대안을 사용한다면 아마 왕따가 되지 싶다. 머 이건 개인적인 견해니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또라이를 구분한다. 상사멍청이, 동료멍청이, 부하멍청이, 면접관멍청이 등 다들 멍청하게 행동하기에 멍청이라고 부른 것 같다. 회사 내에서 멘토를 찾을 수 있는 회사가 있을까? 싶긴 하다. 대부분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을 보고 그렇게 살아보자 하지만 그것도 머 현실에서는 만만하지 않으니까.

먹고 살려고 다니는 회사. 이 책의 이 부분이 가장 눈에 들어왔다.

회사를 둘러보라. 당신이 언젠가 올라가고 싶은 위치의 사람이 있다면 특히 더 자세히 관찰하라. 그리고 당신 자신을 바라보라. 그 위치가 진정 당신이 가고자 하는 곳인가? 그 모습이 당신이 이루고자 하는 모습인가? 이런 질문에 답을 하면서, 또 한 가지 명심할 것이 있다. 분란이 가득한 직장 분위기가 건강상 문제까지 일으킨다는 것은, 당신이 이미 티핑 포인트에 도달 했다는 의미다.’ (p 161)

티핑 포인트 (tipping point)는 어떤 것이 균형을 깨고 한 순간에 전파되는 극적인 순간을 말한다. 즉 작은 변화들이 쌓이고 쌓여서, 조그만 변화가 하나만 더 일어나도 갑자기 큰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가 된 단계이다.

회사를 다니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이것이다. 내가 여길 계속 다녀야 하나? 비전은 있나? 나도 회사를 그만둘 때 한 가지 원칙이 있었다. 그것은 회사의 비전과 나의 비전이 다르면 내가 성장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이었다. 그렇다면 난 더 이상 회사에 머무를 수 없다.

회사도 나도 이득이 없는 이곳을 나가야 했다.

이 책은 회사 내의 여러 인간 종류(?)에 대해서 언급을 했다. 읽어보면 그래 이 사람은 저 과장이야!’라고 매칭을 시킬 수도 있을 것 같다.

어려운 회사 생활에 해답은 되지 않겠지만, 읽어보면서 스트레스는 풀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