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가면을 쓴 사람이 인정받을까 - 사람을 얻으며 이기는 10가지 가면 전략
무거 지음, 류방승 옮김 / 청림출판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북리뷰] 왜 가면을 쓴 사람이 인정받을까

융의 페르소나. 자아의 가면이기도 하지만 우리는 직장 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가면을 쓴다. ‘난 이렇게 잘난 사람이야라며 자신을 스스로 치켜세우게 된다. 세상살이가 빡빡한 것도 사실이지만 나를 모르는 사람에게 나를 어필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주로 직장생활에서의 이야기를 다룬다. 융의 페르소나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간단히 말하면 소위 말하는 직장에서의 처세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책이다.

침묵, 칭찬, 약세, 거절, 용인, 능동, 후퇴, 유머, 추종, 과시 등 총 10개의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각 상황에 맞는 생존 전략을 언급하는 것이다.

두 부하가 있을 때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의 흉을 볼 때 침묵해라. 이런 침묵의 가면을 쓰는 이유는 복잡하게 얽혀 있는 문제나 갈등을 좀 더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라고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또한 칭찬을 이야기하면서 상사가 직원을 바로 관리하게 되면 부하는 더 많은 실수를 하고 눈치를 보게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사실 위와 같은 상황을 모르는 사람이 누가 있을까? 책에서도 언급하지만, 신입이 들어오면 다들 뒷짐을 지고 그래 조금만 있어봐~ 너도 우리처럼 될꺼니까.’라고 생각하지 않는 선배가 있을까? 문제는 선배도 이런 일을 겪었지만 지금은 잘 해결해서 생활하는데 불편이 없어. 이것이 아니라. 그냥 살려고 보니 이렇게 되었어가 되어버린건 아닐까 싶다.

어려움을 극복하면 지난 일이 되지만,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시간에 뭍어버리면 우리는 그냥 그 상태에 주저 앉아 버리게 된다.

영업사원이 마지막 계약을 앞두고 상대방이 소위 말하는 갑질을 하면, 그 속은 얼마나 타들어 가겠나. 이럴 때 그냥 자신의 말을 하라는 저자의 말은 일면 공감이 간다. 하지만 항상 이런 것은 아니니 상황에 따라 맞는 설정을 해야 함은 누구나 잘 알 것 같다.

거절의 전략도 마찬가지일 듯 싶다. 내가 많이 알아서 다른 사람들에게 조언을 해주지만, 이것이 오래가다 보면 정작 내 일은 못하고 뒤치닥 꺼리나 하고 있으니까.

회사는 나 없어도 잘 돌아간다.’ 나는 고용주가 고용한 한 근로자에 불과하다. 물론 일을 잘하고 인정받고 보람도 느끼면 좋겠지만, 회사 생활이 나의 전부는 아니지 않는가?

이 책에서 페르소나 = 처세라고 요약해도 틀릴 말은 아니지 싶다.

미생이 인기지만, 언제까지 미생일 수는 없는 현실이다. 우리도 시간이 지나면 관리자가 된다. 사회 초년생의 마음을 잊지 않았다면 우리가 생활하는 회사가 조금 더 좋은 방향으로 나가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