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이키드 퓨처 - 당신의 모든 움직임을 예측하는 사물인터넷의 기회와 위협!
패트릭 터커 지음, 이은경 옮김 / 와이즈베리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북리뷰] 네이키드 퓨처
Naked Future? 무엇을 뜻하는 단어일까? 여기에 IT 기술을 접목하면 이해가 조금 빠르지 않을까? IT + Naked Future하면 아마 ‘아~’라는 감탄사가 나올 것 같다. 책에나 언급이 없으나 요즘 말하는 Big Data로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따라 예측 가능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고 해석하면 맞을 것 같다. 나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책을 읽으면서 가독성은 좀 떨어지는 듯
했다.
자가 데이터 추적으로 삶의 질을 높인다, 전염병이 퍼지기 전에 예측한다, 개인 맞춤형 마케팅의 진화, 적중률과 지속성을 높이는 사랑의 과학, 누가 사건을 저지를지 예측하라, 당신의 모든 행동을 예측하는 세상에서
살아간다는 것 등 각 chapter의 제목은 우리의 미래가 예측 가능하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났던 영화는 ‘마이너리티 리포트’였다. 또 하나 생각난 영화는 ‘이퀄리브리엄’ 이 두 영화가 생각이 났는데,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예지력을 있는 초능력자가 범죄를 예견하고 범죄를 저지르기 전에 예상 범죄자를 검거하는 내용이다. 이 책에서는 미국 공항에 있는 거짓말 탐지기를 예로 들었다. 공항에서
질문을 하는 사람이 거짓말을 하는지 않하는지를 기계를 이용해 검사하고 거짓말을 한다면 조사를 한다고 한다. 사람의
마음을 기계를 이용해 검사하는 것. 아마 또 하나의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아닐까? ‘이퀄리브리엄’이 생각난 이유는 이런 미래가 온다면 사람의 감정이
없어지고, data에 의한 미래만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무엇이든 예측 가능한 미래일 필요는 없다라고 하지만, 만약 이로 인한
손해가 발생한다면 우리는 또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다. 이에 클라이밋 코퍼레이션은 이에 해답(?)을 줄 수도 있을 것 같다. ‘클라이밋 코퍼레이션은 보험료가 비싼
회사로 유명하지만, 보험금 지급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여준다. 강수량과
더위를 비롯한 여러 기후 조건이 작물에 해를 끼치는 단계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감지하면 회사 시스템이 지급해야 할 보험금을 계산하여 지불한다. 보험가입자는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이 그들의 강점이고, 정부보다 훨씬 더 빨리 보험금을 지급한다. (p 144)’
사람의 모든 행동이 이성적일 수는 없다. 때로는 감정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것 또한 data를 통하여 얼마든 예측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행동경제학이 나름의 설득력을 갖고 있으니까.
우리의 미래가 예측 불가능한 것은 사실이다. ‘일본인들은 수 세기
동안 지진 예측에 창조력과 지략을 동원해왔다. 역사적으로 보면 일본에는 ‘대지를 뒤흔드는 폭군’이라고 불린 거대메기(namazu)가 날뛰면 지진이 발생한다는 설화가 있었다.’ (p 24) 어찌보면 data가 만드는 미래라고도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 data는 우리의 습성을 기록한 data기에 data가 그린 세상이라기 보다, 과거를 기록한 미래라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