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에 지지 않을 용기 - 나에게 힘을 주는 아들러 심리학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박미정 옮김, 오구라 히로시 해설 / 와이즈베리 / 2014년 8월
평점 :
품절
[북리뷰] 인생에 지지
않을 용기
책 표지에 심리학의 3대 거장이 프로이트, 융 그리고 알프레드 아들러라고 했다. 그런데 ‘알프레드 아들러’는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다. 개인적으로 프로이드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아들러는 어떨지 궁금했는데, 이 책은 읽기에 아주 편했다. 편한 마음으로 읽기에 안성맞춤이라고
할까?
이 책 한 권으로 아들러의 심리학을 이해하기는 힘들 것이다. 다만
이 책을 읽고 느끼는 점이 있다라고 한다면, 아들러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삶이 바뀔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첫 페이지를 읽으면서 아들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인생이 힘든 것이 아니라, 당신이 인생을 힘들게 만드는 것이다. 인생만큼 단순한 것도 없다.”라는 문장을 접했다. 1.5미터 높이의 문을 통과하는데 고개를 숙여서 통과할지 아니면 그냥 가다가 머리를 부딪칠 것인지는 온전히
나의 선택인 것이다. 단순한 문제를 예로 들었을 수 있다. 살면서
복잡한 문제가 부지기수인데 비유가 너무 단순한 수도 있겠지만, 받아들이는 이가 어떤 대응을 하느냐에
따라 문제가 복잡해 질 수 있고, 단순해 질 수도 있다.
이성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 사람일 수 있겠지만, 아주 종종 우린 감성적인
행동을 한다. 아들러는 감정은 두 가지 목적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상대를 조정하기 위해서, 다른 하나는 자기 자신을 움직이기 위해서이다.
아들러는 감정은 자동차를 움직이는 연료와 같다고 했다. 감정에 지배당하지 말고 감정을 이용하자는
것이다. 아이들은 감정만으로 어른을 지배한다. 어른이 되어서도
감정으로 다른 사람을 움직이려 한다면 아직 덜 자랐다는 증거라고 아들러는 말하고 있다. 분노 등의 감정은
배설물이라 한다. 즉, 배설물을 조정한 들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아들러는 성격은 바뀔 수 없다는 생각이 강하기 때문에 ‘라이프 스타일’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아들러는 성격 혹은 인격은 태어날 때부터 갖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로 결정한 것이기에, 언제든 바꿀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라이프 스타일’이라고
말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 보면 일만 열심히 하는 워크 홀릭을 자주 본다. 아들러는
이 워크홀릭에 대해서 이런 말을 한다. 일이 바뻐서 애인과 친구를 사귀지 않는 사람은 잘 어울리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을 남에게 보이고 싶지 않아서 필사적으로 일에 매달린다는 것이다. 음… 이 문장을 보니 두 가지 생각이 났다.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이 사람을 대하는 태도이다. 외향적인 사람은 모임도 많고 많은 사람들과 어울린다. 하지만 내향적인 사람은 외향적인 사람보다 덜 어울리는 경향이 있다. 이
두 성향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분명한 점은 외향적인 사람이 사회적인 만족도가
크다는 것이다.
아들러라는 심리학자는 “나는 내가 만들어 간다.”라고 생각하는 심리학자 같다. 내가 결정하는 방향대로 살아갈 수
있고, 내가 나 스스로를 컨트롤 할 수 있다는 생각이 강한 심리학자라 생각한다. 이번 책을 통해서 아들러를 만났다. 다음에는 아들러의 심리학에 대한
개론서를 사서 읽어봐야겠다.
‘인생에 지지 않을 용기’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인생은 내가 살아가니 나를 잘 알고 내가 선택한 결정에 책임을 지면 되지 않을까? 아들러라는 심리학자를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