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30 기회의 대이동 - 미래는 누구의 것인가
최윤식.김건주 지음 / 김영사 / 2014년 8월
평점 :
[북리뷰] 변화가 무엇일까?
얼마 전 북포럼에서 <특이점이 온다>라는 책을 주제로 북포럼이 진행됐다. 책을 읽지 못하고 갔으나,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말씀을 듣고 있자니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이점은
혁신(?)이 폭발하는 임계점(?)이라고 이해했다. 변화는 한 순간에 일어나는 사건이 아니라, 임계점처럼 변화의 기운이
응축되어 폭발된 그 후에 일어나는 현상일 것이다. 변화를 위해서는 많은 준비과정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좋은 변화건 그렇지 않건 간에.
이 책은 앞으로 일어날 변화에 대해서 준비하라는 이야기일 것이다. 미래
예측이라는 것이 어렵긴 하지만, 그것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은 예견을 해야 하니까…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기운들을 설명하는 책이라고 보면 어느 정도 맞을 것 같다.
첫 번째 장에서는 땅의 이동, 판이 바뀐다고 말하고 있다. 어떤 판? 인구 축의 이동, 에너지
축의 이동, 경제 패권 축의 이동을 말하고 있다. 어찌보면
인구와 에너지, 경제는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축이라는 생각이 든다.
경제활동인구가 많으면 에너지를 당연히 더 쓸 것이고, 경제력도 좋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합계 출산율이 떨어지면 적극적인 이민정책으로 사람을 충원하면 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녹녹치 않다. 상류층, 중산층, 서민층, 탈북민, 이민층
등 계층화를 선호하고, 백인을 추종하면서 유색인종에게 박한 우리나라가 이민정책에 성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여튼 땅이 이동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두 번째 장은 과녁의 이동이다. 과녁, 즉 타켓이 이동한다는 뜻이라고 이해했다. 기존의 마케팅관점에서 새로운
관점으로 이동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세대별 구분이 좀 재미있었다. 요즘은 S세대와 V세대라고
한다. S세대란 싱글(single)과 솔로(solo)의 이니셜 s와 세대를 결합해 만든 신조어로 쿨하게 살기를
선망하는 세대라한다. S세대는 취업난과 양극화 속에 생존(survival)을
위해 힘겨운 싸움을 벌이는(struggle), 그러면서도 모태 디지털세대라 불릴 만큼 인터넷과 SNS를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스마트한 특성이 있다고 한다. V세대는
용감하고(valiant), 다양하며(various), 생기발랄(vivid)한 2010년대의 젊은이들이라고 한다. 두 번째 장의 핵심은 아마 이런 층을 자세히 읽어야 한다는 뜻 같았다.
세 번째 장은 활의 이동이다. 과녁이 이동하는데 당연히 활이 이동하겠지. 결국 사람이라는 말이다. 미래 인재의 조건으로 S.M.A.R.T를 언급했다. S(Sense), M(Method),
A(Art), R(Relationship), T(Technology) 이것이 미래의 인재상이라 한다.
살아가는 환경이 바뀌면 그에 맞는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그런데 가끔
이런 생각을 한다. 여름에 겨울 옷을 사면 한참을 기다렸다가 입어야 한다. 변화의 준비가 너무 빨랐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가을에 겨울 옷을
사면 좀 비싸다. 겨울에 겨울 옷을 사면 더 비싸다. 하지만
겨울이 조금 지나가는 순간에 사면 싸게 살 수 있다. 변화의 적응도 중요하지만 내가 어느 순간 변화에
적응을 해야 하는지도 알아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