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 - 행복하게 살기 위해 꼭 필요한 공부
최준식 지음, 김호연 그림 / 김영사 / 2014년 7월
평점 :
[북리뷰]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
중간 중간의 문구는 참 맘에 드는데… 사후세계와 영혼의 이야기를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참 이해하기 힘들었다. 책 내용의 대부분이 영혼과 관계 있는 내용인데… 글쎄… 종교나 사후 세계를 믿지 않아서 이런 부분을 감수하고 읽기에는
너무 힘든 책이다.
삶과 죽음은 영원회귀의 반지라는 말이 있습니다. 삶과 죽음은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라는 말이겠죠. 하지만 우린 자주 죽음을 망각합니다.
더 얻으려 하고, 더 취하려 하고, 더 낳은
삶을 살려고 노력합니다. 만족을 모르는 불만족의 삶이죠.
현재의 삶을 어느 정도 만족한다면 우린 그 다음 단계로 올라서기 위해서 노력합니다. 그러다가 주변에서 부고가 들려오면 자신의 삶을 다시 한 번 돌아봅니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다시 나의 일상에 푹 빠져 버립니다. 일상에 빠진다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일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생계와도 연관이 있으니까요.
돈이 많아 생계 걱정을 하지 않고 딩가 딩가~ 먹고 놀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우린 열심히 일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 먹고 사는 걱정을 덜 할테니까요. 책에서는 모르는 곳을 갈 때 미리 알아보는 것처럼 사후 세계에 대해서도 공부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개인적인 신념에 대한 부분이기에 각자 자신의 믿음대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우리는 삶과 죽음이 둘이 아니라는 것을 확실하게 알게 됩니다. 어느 하나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게 되지요. 이것이 바로
우리가 죽음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우리의 삶은 죽음을 생각할 때 완성됩니다. 삶은 죽음을 알게 될 때 깊어집니다.”
책 사이에 엽서처럼 끼워진 부분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현실의 삶에서
죽음을 인식한다면, 그리고 저자의 말처럼 근사체험
(Near-Death Experience)을 한다면 자신과 관계된 사람들에게 좀 더 사랑스럽게 대할 것 같습니다.
죽음이 다가온 경우, 우리가 직접 이런 상황이 된 경우가 없기에 매스컴이나
주변의 이야기를 빗대어 보면 그럴 것 같다는 것이다. 큰 사건 사고가 있었을 때 가족과 연인에게 보낸
문자가 공개 된 적이 있다. 그 문자들을 보면 미안하고 사랑한다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나의 삶이 끝나는 시점에 당신을 사랑하고 미안했다는 내용이 많았다. 왜
그랬을까? 자신의 삶이 끝나가는데 왜 미안하고 사랑한다라고 했을까?
더 이상 볼 수 없는 사람에게 마지막 해보고 싶었던 말… 그것은 사랑한다는
말이었다. 이렇듯 죽음을 앞에 둔 사람들은 살면서 사랑을 표현하지 못한 부분이 미안했을 것이다. 그럼 우리가 매일 삶에서 죽음을 인식하고 있다면 좀 더 편안하게 삶을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마지막 그 순간 같이 있어 고마웠다는 말을 남길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