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꿈결 클래식 1
헤르만 헤세 지음, 박민수 옮김, 김정진 그림 / 꿈결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리뷰] 데미안

20대에 읽은 데미안. 기억을 더듬고 더듬어 봐도 생각나지 않는 데미안. 마흔이 되어 다시 읽은 데미안. 역시 이해하기 어려운 데미안. 싱클레어와 데미안의 이야기인데 어찌보면 또 다른 나와의 이야기 같기도 하다. 헤르만 헤세는 융의 심리학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싱클레어와 데미안이 만나는 시점은 싱클레어가 프란츠 크로머를 만난 시점과 일치한다. 책의 도입부에서 싱클레어는 다른 두 가지 세계가 공존함을 밝히고 있다. 그러고 싱클레어가 프란츠 크로머를 만나는 시점 역시 서로 다른 두 환경에서 자란 이들이 만나는 시점이다. 이 때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만난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와 프란츠 크로머의 세계를 공존하는 듯한 이미지를 풍기게 된다.

책 곳곳에서 서로 다른 두 세계를 언급하는 부분이 나온다.

운명과 심성은 하나의 개념을 표현하는 두 가지 명칭이다. 133 페이지

새는 투쟁하며 알에서 나온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그 새는 신에게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다. 144 페이지

사랑은 두 가지 모두였고, 두 가지 이상의 것이었다. 사랑은 천사의 형상이자 악마였고, 남자이자 여자였으며, 인간이자 짐승이고, 촤선이자 극단의 악이었다. 150 페이지

내 꿈 가운데 가장 끈질기게 되풀이되는 꿈은 저 어두운 사랑의 꿈이다. 174 페이지

여러 문장에서 볼 수 있듯이 헤르만 헤세는 서로 다른 두 세계를 언급하고 있다. ‘자아(ego)’가 의식상태에서 생활을 하는 나이라면 내가 인식하지 못하는 진짜 나를 자기(Das Selbst)’라 하는데 이 자기(Das Selbst)’는 이식과 무의식의 소리를 함께 듣는다고 한다. 융의 자아는 페르소나(Persona)’와 연관이 되는데 페르소나는 사회적 가면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싱클레어와 데미안을 보자면 싱클레어가 자아라 볼 수 있고, 데미안이 자기라 볼 수 있을 듯하다. 그리고 싱클레어는 페르소나로서 사회생활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이건 그냥 우리가 사는 한 시대의 이야기가 아닐까 한다. 우린 모두 사회적인 가면을 쓰고 있고 (페르소나), ‘자아라 생각하는 이성적인 모습으로 사회생활을 하니까. 그리고 멘토라 불리는 사람들을 찾아다니면서 자신이 의식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 조언을 받을려고 하고 있으니까.

시대는 변해도 사람은 변하지 않나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