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는 주제다 - 남영신의 주제 중심 글쓰기 수업
남영신 지음 / 아카넷 / 2014년 5월
평점 :
[북리뷰] 글쓰기는 주제다.
주제화(主題化)는 주제를 구현하는 일이다. 즉, 주제 논의를 주제문에 이르기까지 이끌어 가는 일을 주제화라
한다. 이 문장이 이 책의 핵심이라고 본다. 글을 쓰면서
주제를 표현하고, 주제에 대한 근거를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이 글쓰기의 과정이다.
단위 글은 주제문과 몇 개의 뒷받침문장으로 구성되는 ‘글의 최소 단위’이다. 즉, ‘단위 글 = 주제문 + 뒷받침문장 + ∙∙∙ + 뒷받침문장’ 으로 구성된다고 보면 된다. 단위 글의 주제문은 글의 맨 처음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주제문은
글쓴이의 생각(주장이나 느낌)을 하나의 문장으로 적은 것이다. 뒷받침문장은 주제문의 이유나 근거 또는 사례나 해설을 제공하여 독자가 주제문을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게 하는
문장을 말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짜임글로 글쓰기 영역을 넓히는 것이 글쓰기의 진화이다. 즉
‘짜임글 = 단위글 + 단위글 + ∙∙∙ 이다. 단위 글은 ‘주제문 + 뒷받침문장’으로
구성되기에 이렇게 바꿀 수 있다.’ 짜음글 = (주제문 + 뒷받침문장) + (주제문 + 뒷받침문장) ∙∙∙ ‘
글쓰기를 잘하다는 것은 주제화를 잘하는 것이고, 주제화를 하기 위해서는 단위
글로 확장을 해야 한다. 단위 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짜임글로 확장할 수 있다. 이런 글쓰기를 잘 한다면 자신의 의사를 더 정확히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구조를 항상 생각한다면 글쓰기 실력이 향상될 것 같다. 또한 각 주제에 대해서 소제목을 정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소제목 또는 목차를 정하면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이 만들어질 테니까.
때때로 글을 쓸 때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거지? 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글을 쓰고는 있는데 그냥 가는 방향으로 썼더니 내 본래의 의도와는 다른 글이 되었다. 말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내가 의도하는 바와는 다르게 말을 한
경우, 뒤에 따라오는 책임은 후회해도 소용이 없으니까.
말은 한 사람이 듣게 되지만 (일반적인 대화인 경우), 글은 많은 사람들이 읽기 때문에 잘못된 글쓰기 혹은 의도와는 다른 글쓰기가 된다면 글을 쓴 사람이 받는 충격은
더 클 것이다.
의도라는 것이 사람의 생각이긴 하지만, 때때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갖고 오는
경우도 있다. 글쓰기가 주제화라고 했다. 주제를 구현하는
방법은 많은 것이다. 내가 생각한 주제를 정확히 전달하는 방법이 이 책에 나와 있다. 많이 연습한다면 나도 주제화를 잘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책에는 설명과 함께 예시 문장이 나와 있다. 예시 문장을 보고 나의 글을 다듬고
연습한다면, 나의 글쓰기 솜씨도 조금 더 좋아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