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 ㅣ 아르테 미스터리 1
후지마루 지음, 김은모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1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에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를 봤다. 그리고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을 읽었다.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을 읽고 보다 보니 예전에 본 ‘너의 이름은’이란 영화가 생각났다. 엊비슷한 느낌을 지울 수 없어 찾아보니, 이런 소설을 라이트 노블(Light Novel)이라고 정의하고 있었다. 뭉글뭉글한 느낌을 주는 라이트 노블. 연애세포가 지워진 중년에게 라이트 노블이 지대로 먹혔다.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은 봄철의 소나기와도 같았다. 봄은 잊었던 새 생명이 피어난다. 그냥 이렇게 황무지 같은 세상이 지속될 것 같다는 느낌을 받을 쯤,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았지?’라며 지난날의 기억을 소환하고, 다시금 우리의 앞날은 화창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 같다.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의 원제는 ‘시급 300엔의 사신’이다. 제목에 굳이 의미를 부여하자면, 사신도 돈을 받고 하는 일이었다. 산자가 죽은 자를 위해 노동을 하기에 일정 금액을 준다.
죽은 사람 중 미련이 남은 사람이 ‘사자’가 된다. ‘사자’는 자신이 죽었던 때부터 이른바 ‘추가시간’을 얻어 미련을 해소한다. 이 추가시간이 얼마가 될지는 누구도 모른다. 하지만 끝은 반드시 존재한다.
‘사자’의 미련을 풀어주는 사람이 ‘사신’이다. 사신은 특별한 능력은 없다. 다만 죽은 자의 소원을 들어주는 역할만 할 뿐이다. 미련이 남은 ‘사자’가 되면, 사자와 사신만 기억할 뿐 누구도 기억하지 못한다. ‘사자’ 중에서도 ‘사신’이 되기도 한다. 이게 이 소설의 포인트이다.
사쿠라(나)는 하나모리에게 사신 아르바이트를 제안받는다. 그러고 처음 만난 사자가 아사쓰키다. 아사쓰키와 사쿠라는 좋아하는 사이였다. 사쿠라는 아사쓰키가 죽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아사쓰키와 이야기를 나눈다. 며칠이 지나고 아사쓰키 집을 찾았을 때, 아사쓰키가 교통사고로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사쿠라는 하나모리에게 왜 사실을 알리지 않았느냐고 화를 낸다. 어젯밤 아사쓰키와 이야기를 할 때 대답하지 못한 게 맘에 걸렸다.
아사쓰키가 떠나고 나면, 아사쓰키가 추가시간에 했던 말과 행동은 오로지 사신만 기억할 수 있다. 사신 아르바이트는 6개월이면 종료된다. 사쿠라는 아사쓰키의 마지막을 기억하는 유일한 존재다. 6개월 후면 이 역시 잊겠지만.
하나모리와 사쿠라는 이후 여러 사자를 만난다. 사쿠라가 만난 사자 중, 마지막은 하나모리였다. 사자는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되는데, 하나모리가 갖게 된 능력은 시간을 멈추는 능력이다.
하나모리는 사쿠라를 만나려고 하지 않다가 사쿠라를 받아들이고 마지막 추가시간까지 행복한 추억을 만들려고 노력한다. 둘은 세상이 정지된 시간 속에서 둘만의 시간을 보낸다. 이제 모두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겠지만.
하나모리가 떠나는 날, 둘은 멈춘 시간 속에서 손을 잡는다. 이 시간이 멈춰지길 바랬던 것처럼. 하지만 하나모리가 떠나고 시간은 다시 흐른다.
우린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한다. 행복에 취해 더 기쁜 감정을 바라기 때문이다. 반면, ‘시간이 빨리 흘렀으면 좋겠어.’라는 말도 한다. 지금의 어려움이 빨리 지나가길 바라는 것이다. 둘은 멈춘 시간 속에서 행복을, 아쉬움을, 연민을, 사랑을 느끼며, 시간 속에서 이별을 했다.
라이트 노블은 무거운 주제를 설정하지 않는다. 우리가 일상에서 잠시 놓고 살았던 사람에 대한 사랑이라는 명제를 다시 기억하게 해준다. 중년의 심장을 뛰게 한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이었다.
나를 기억하는 누군가가 있다면, 난 그 사람 기억 속에서 영원히 살 수 있다. 내가 기억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나는 얼마나 많은 사람 속에서 기억되고 있을까?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 나는 너를 기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