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2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민희 옮김 / 생각의나무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E=MC2.. 이 공식을 처음 대했을 때가 고등학교 1학년 때였습니다. 그때는 막연히 '천재 과학자'란 수식어를 가지고 있는 아인슈타인이란 과학자에 대한 동경과 함께 눈으로 접하기에 아주 간단해 보이는 위의 공식이 왜 그리도 유명한 것인지 알지 못했고, 단순히 그냥 유명한 공식인가보다..라는 생각만 했습니다. 그러다가 '상대성이론'과 함께 그 궁금증이 더해 갔을 때 그에 관련한 책을 읽어 보기 위한 시도를 했다가..책 몇페이지만을 읽다가 덮어 버렸습니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이야..?'

결국 그 시도아닌 시도가 대학을 졸업하고 10여년 간의 직장생활을 하면서 그냥 궁금증 만으로만 지니고 있다가 이번에 나온 위의 책을 보게 되었습니다. 머릿말에서도 있던(번역가의 글?) 카메론 디아즈가 무슨 잡지 기자와의 기사중..'궁금한게 뭐가 있어요?'란 질문에..'E=MC2'이 무슨 말이지요..? 하고 물었다가.. 서로 크게 그냥 웃어버렸다는 얘기가 나왔습니다. 그러면서 혼잣말로.'정말 궁금한데..'라고 했다는.. 저역시도 마찮가지였습니다. 그리도 간단해 보이고 보편적여 보이는 이 공식이 뜻하는 것이 과연 무엇일까..? 이번에 이책을 통해 좀더 알수 있을 것 같다는 기대를 하면서 책의 머릿말 부터 차근차근 읽어 갔습니다.

책의 구성은 'E=MC2' 이 태어날 때까지의 과정 즉 'E' 와 '='와 'M'과 'C'와 '2'이 태어나는 순간 부터 시작 합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 이전의 과학자들의 얘기가 그들의 사생활(사랑, 정치적 문제..등)과 함께 어울어져 재미있게 전개가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인슈타인이 그들 속에서 찾게 된 바로 질량을 가진 무언가가 빛의 속도로 나아간다면 그에 해당하는 엄청난 에어지를 가지게 된다'는 공식을 도출하게 됩니다. 그 공식을 구체화 하고 나서 결국 전혀 뜻하지 않은 전쟁의 제물로 그 물리학 법칙을 증명하게 되지요.

제가 이 글을 보면서 느낀건 대학에 다닐 때까지만 해도 거의 '바보'소리를 들으면서 지냈던 아인슈타인의 감춰진 천재성과 그로인해 오히려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갖게 된 아인슈타인의 생활속에서 '천재'란 그들만의 노력에 대한 댓가라는 점과 함께 비록 아인슈타인이 만들어낸 공식이긴 하지만 그 안에 담겨진 여러 수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이 함께 포함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조금더 시간이 흐른 후 다시 한번 읽어볼만한 좋은 책이라 여겨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