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의 여인들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7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와 위인전을 무척 좋아하지만 냉소적인 성격이라 그런지 작가의 상상력이(?) 많이 발휘된 책은 피하는 편입니다. 너무 딱딱하고 개관적으로만 쓰여진 책도 싫지만. '르네상스의 여인들'은 곡절많은 여인들의 일생을 사실에 충실하면서도 소설투로 흥미진진하게 풀어 나갑니다. 이사벨라 데스트, 루크레쟈 보르쟈, 카테리나 스포르쟈등 항상 더 자세히 알고 싶었던 이들의 일생을 이 책을 통해 접할수 있어서 기뻤고 인물과 역사에 대한 작가의 애정과 그녀의 뛰어난 통찰력에 내심 감탄했습니다.

같은 시대를 살았어도 많이 달랐던 네명의 르네상스 여인들을 보며 역시 타고난 성격이란게 있구나 새삼 깨닫았습니다.

중간계급의 귀족집안에 태어나고 시집가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기자신 개발에 매달린 이사벨라. 타고난 영민함으로 르네상스 시대 특유의 예측불허의 정치/외교의 무대에서 자신과 가문을 지켜내고 최고의 지성으로서 인정받았던 이 여자에게선 강인한 어머니상과 운명적인 영광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반대로 교황의 딸이자 이사벨라의 올케이기도 한 루크레지아 보르쟈는 번번히 아버지와 오빠의 야심의 희생물이 되어야 했으면서도 순순히 운명을 받아들였습니다. 결코 정숙하지도 지적이지도 않았지만 타고난 아름다움과 순한 심성으로 남편의 사랑을 받은 특권층 출신 여인의 행운과 불행을 둘다 보여주는 여인이였습니다.

그리고 미모와 정열, 독함과 배짱을 겸비한 시대의 여장부 카테리나 스포르쟈. 이기적이고 속물적이고 여러명의 남자들과 정렬적으로 사랑하고 시대의 풍운아 체쟈레 보르쟈와 맞대결까지 불사할정도로 무분별하고 드셌던 이 여인에게선 현대여성과 유사성을 발견할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략결혼에 의해 키프러스의 왕비가 되었다 일년도 못되어 남편과 아들을 잃고 키프러스를 둘러싼 외국의 암투속에서 명목상의 왕비자릴 유지하다 결국 나라를 모국 베니스에 인계하고 다시 베니스로 돌아가 나름대로 불만없는 일생을 살다 간 카테리나 코르도바. 무심하고 낙천적인듯한(?) 그녀의 성격이 그녀의 인생엔 오히려 다행이었겠다 싶으면서도 어째 루크레치아처럼 연애도 못했던걸까 경멸감도 드는군요 ^^;;

역사적인 지식습득면에서도 재미면에서도 우수한 '르네상스의 여인들' 한번쯤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