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살 것인가 - 힐링에서 스탠딩으로!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쓸신잡' 이후 찾아보고 있는 유시민 작가님.

그렇다고 해도 모든 글을 읽어본 것은 아니고,

사실, 오랫동안, 정치를 알지 못하고 살았어서

이 분의 과거 이력을 피상적으로 밖에는 알지 못한다.

그런 한계 속에 있는 나는,

이 책은 다른사람들을 위해서라기 보다,

삶의 방식에 변화를 도모하는 작가님이 스스로하는 다짐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p32-34

열아홉 살의 나는 도전하지도 않고 좌절한 현실주의자였다.

~~

평범해도 평범하지 않아도, 인생은 훌륭하거나 비천할 수 있다. 

인생의 품격은 평범함이나 비범함과 상관 없는 것이다.

내 문제는 꿈이 없다는 것이었다.

내게는 무엇인가 꼭 이루고 싶은 목표가 없었다.

인생을 어떤 색조로 꾸미고 싶다는 소망도 없었다.

그저 현실에 잘 적응했을 뿐이다.

-

그때 이후 지금까지 목표도 방향도 없이 '닥치는 대로' 살았다.

마구잡이로 살았다는 뜻이 아니다.

그때그때 눈앞에 닥쳐온 일을 나름 성실하게 열심히 하면서 살았다.

~~

지금도 그것이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훌륭한 삶은 아니었다.

내 자신이 설계한 인생, 내가 원한 삶의 방식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

성년이 된 이후 오랫동안 내 삶을 지배한 감정은 기쁨이나 즐거움이 아니었다.

수치심과 분노, 슬픔, 연민, 죄책감, 의무감 같은 것이었다.


이 생각을 열아홉 살의 작가님이 인식하셨다고 해도,

유작가님은 같은 삶을 사셨을 거라고 생각한다.

(물론, 전공에 관해서는 다른 선택을 했을 것 같다.)


(운 좋게도) 살아보지 못한 시대지만,

'그 시대'에 살면서

'수치심과 분노, 슬픔, 연민, 죄책감, 의무감'을 느껴버렸다면,

다른 방식으로 살지 못 하셨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 과정에서 동기의 타이틀이

'현실에 적응'이 아니라 '인생의 목표'로 붙었을지는 모르지만,

그 당시에는 어느쪽이든 상관이 없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적다보니 너무 건방진거 같은데..ㅠㅠ)

그럭저럭 발전한 사회와 나이, 이룬 업적들로

어느정도 의무감을 벗어난 지금에와서,

보낸 시간들을 돌아보며 반성하신 것 같다.


물론,

많은 경우, 자기 자신의 평가가 가장 가혹한 법이고.

앞으로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자신의 과거를 비판적으로 바라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작가님 말씀대로,

"세상도 인생도 행운과 불운, 불합리와 부조리로 넘쳐난다.

~~

내 선택으로 바꿀 수 없는 것은 주어진 환경으로 받아들이는 게 최선이다.

-p290~291- " 라면,


그 시대는 

'눈 앞에 닥쳐온' 현실을 어떻게 하기 전에

자신이 원하는 설계한 삶을 살 수 있는 환경이 아니었을 것 같다.


p52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한 사람에게 타인의 위로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제도 개선도 마찬가지다.

그것은 단지 삶의 환경을 조금 덜 냉혹하게 만들 뿐, 그 자체가 내 삶을 행복하게 하지는 못한다.


라고 하셨지만, 후대로서 위로를 하자면,

닥쳐온 현실을 열심히 살아주셔서 고맙다.


나는, 반대로 내 개인적인 즐거움과 행복을 기준으로 살아왔고,

그것이 바람직한 삶의 방식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고, 시야가 조금이나마 넓어지면서,

'사명'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저 하루하루 즐거운 것 만으로는 인생의 의미가 만족 되지않았다.

나는 그게 내가 이룬게 없어서 그렇다고 판단했었는데,

유작가님의 책을 읽어보니,

이룬게 많아도, 그것이 장기적인 설계의 일이 아니라,

하루하루를 처리한 것일 뿐이라면,

같은 기분이 들게 되는 것인가 보다.


'욕심쟁이 알고리즘'이란 것이 있다.

일련의 선택 사이에서 전후 맥락을 무시하고,

한 선택에서만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다.

이는 어떤 종류의 문제에서는 빠르고 적합한 답을 내지만,

일반적인 문제에서 최선의 선택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행복한 하루하루가 모여서 행복한 인생을 만든다라는 말이 있기는 하지만,

닥쳐온 하루에만 집착하면,

보다 큰 걸 놓칠 수도 있는거 아닌가 싶다.




p37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는 일이다.
‘자기 결정권‘이란 스스로 설계한 삶을 옳다고 믿는 방식으로 살아가려는 의지이며 권리이다.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J.S.Mill)의 표현을 가져다 쓰자.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삶을 자기 방식대로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방식이 최선이어서가 아니라, 자기 방식대로 사는 길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p43
재능의 본질은 즐기면서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다.

p49
참으로 중대한 철학적 문제는 단 하나 뿐이다. 그것은 자살이다.
인생이 살만한 가치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는 것, 이것이 철학의 근본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다.
그 이외의 것, 세계는 삼차원을 가지고 있는가,
정신은 아홉 개 또는 열두 개의 범주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그 이후의 일이다.
그것들은 장난이다.
-알베르 카뮈 지음, 이가람 옮김. ‘시지프의 신화‘ 11쪽-
~~
의미를 모르는 삶은 비천하고 허무할 뿐이다.

p84
극복할 수 있는 시련과 고통, 스트레스는 해롭지 않다. 사람을 단련한다.
그러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고 도저히 이겨낼 수 없다고 느끼게 만드는 시련은 아이들을 죽인다.

p101
어떤 천재도 자기 시대를 완전히 초월하지는 못한다.

p156
남들에게, 사회에 폐를 끼치지 않고 살려면 ‘쓸모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착한 사람,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본은 ‘쓸모 있는 사람‘이다.
사람이 밥만 먹고 살 수는 없다. 그러나 어떻게 하든 밥을 먹기는 먹어야 한다.
밥을 먹으려면 어디엔가 쓸모가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분업 사회에서는 다른 방법이 없다.
스스로 밥벌이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생계를 타인의 자비심에 의존하면 존엄한 삶을 살기 어렵기 때문이다.

p212
자기 결정권을 제약당하거나 빼앗긴 사람의 인생은 행복할 수 없다.

p213
스스로 설계한 삶을 자기가 옳다고 여기는 방식으로 살면서,
그것이 무엇이든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것을 성취했을 때 행복을 느낀다.

p249
일과 놀이와 사랑만으로는 인생을 다 채우지 못한다.
그것만으로는 삶의 의미를 온전하게 느끼지 못하며,
그것만으로는 누릴 가치가 있는 행복을 다 누릴 수 없다.
타인의 고통과 기쁨에 공명하면서 함께 사회적 선을 이루어나갈 때,
우리는 비로소 자연이 우리에게 준 모든 것을 남김없이 사용해 최고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
그런 인생이 가장 아름답고 품격 있는 인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