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살고 있는 오피스텔에서

3월 28일부터 비닐과 스티로폼을 수거하지 않기 시작했었다.

이게 이 동네뿐이 아니라 수도권 전체에서 발생한 변화였고,

이런저런 문제 발생 후, 결정된 정부의 지원하에,

일단 다시 수거하기로 한다는 뉴스를 조금 전에 들었다.


그리고 그 몇일 전에는

태평양의 거대한 쓰레기섬,

해양의 미세 플라스틱,

인공위성 궤도의 폐기 부유물이

보도되었었고,

미세먼지는 거의 고정 뉴스다.

그리고 그 외에도

방사선, 토양오염, 온난화도 익숙하다.


과학과 의학의 발달로 인류의 수명은 점점 더 길어지고 있다는데,

과연 인류가 이 새로운 단명원인들을 잘 극복할 수 있을까?


중금속 때문에, 바다 물고기도 위험하고,

토양오염으로 곡식에서 비소가 검출된다는데,

언젠가는

"21세기에는 자연에서 채취한 걸 먹었데~"

라는 말을 하면서 합성 단백질을 주식으로 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어느정도로 심각해져야

환경문제를 제1순위로 생각하는 것이 기본 상식이 될까?


지금 당장 불편을 감수하면서 환경문제를 우선하게 될지,

아니면 더더 심각해져서

온 인류가 이 문제를 제1로 생각하게 되었을 때,

새로운 해결책을 발견하게 될 것인지.

궁금하다.


인류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는 점점 더 편해지고, 점점 더 많이 소비했다.

인류의 소비 그래프는 어떠한 모양일까?

그 정점이 있을까?

아니면 한없이 늘어만 갈까.


왠지 그 정점 부근의 시대에 살고 있는 기분이 드는건,

내가 인류의 저력을 무시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