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표준으로 만드는 안드로이드 웹앱 - with HTML, CSS, 자바스크립트, 제이쿼리, 제이큐터치, 폰갭 (개정판) 한빛미디어 모바일 시리즈 12
조나단 스타크 지음, 김지원.정훈 옮김 / 한빛미디어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 본문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티브앱 vs 웹앱의 차이점. 

 -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서로 다른 파일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방법. 

 - 데스크톱 버전과 안드로이드 버전의 스타일시트로의 구성. 

 - 본문에서 사용하게될 HTML,CSS, 자바스크립트, jQuery, jQTouch에 대한 간략한 설명. 

 -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측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웹 스토리지(로컬스토리지, 세션스토리지)와 웹 SQL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방법.

 - 오프라인에서 동작하기 위한 캐시 Manifest 설정방법. 

 - 디버깅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콘솔로깅. 

 - 웹앱의 제약사항인 모바일 기기에의 제어를 가능케해주는 오픈소스 개발 도구인 폰갭. 

 - 안드로이드 마켓에 등록하기 위한 배포 준비과정 등을 개발에 꼭 필요한 내용만 선정하여 설명합니다.


* 전반적인 평가를 내려봅니다.

  안드로이드용 웹앱에 대한 개념을 잡는 데에는 좋은 서적같습니다. 다소 어렵지만 안드로이드 웹앱에 대한 입문서로는 추천할 만 합니다. 특히 Java언어를 잘 몰라도 웹 기술과 폰갭으로 배포가능한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각 장에서 다루는 내용의 분량이 적은편이어서 이해하는데 부담은 적은것 같습니다.


* 장점으로 생각되는 사항들 입니다.

  본문에서는 칼로리 계산을 위한 Kilo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전반적으로 필요한 기술들을 꼭 필요한 내용만 제시합니다. 소스코드 기술 시 오른쪽에 번호를 매겨주고 이를 분석하여 정말 자세하게 설명해줍니다. 번역본 임에도 필체가 부드럽고 적합한 용어선정과 의미전달이 매끄러우워서  문맥적으로 그 의미가 어색하거나 한 점은 없습니다. 오탈자가 매우 적은 편입니다.


* 아쉬운 점

  본문의 흐름에 따라 실습을 하는데, 답답한 점이 있었습니다. 일련의 기능 구현을 위해 소스코드의 일부분을 계속 변경하고 추가하는 방식인데, 정확히 어느부분을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지 중반부까지는 전체소스를 수록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따라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또한 실행화면이나 기타 첨부화면이 다른 도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기 완성된 예제(다운로드 받은 예제소스)와의 실행화면에도 좀 차이가 있는것 같구요. 이 때문인지 따라하기가 쉽지는 않았습니다. 초보자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것 같습니다.


* 다만 본문에서 다루는 웹 기술인 HTML, CSS, 자바스크립트, 제이쿼리, 제이큐터치, 폰갭은 어느 하나라도 제대로 익히려면 오랜시간과 이해력이 필요할 것 입니다. 책 한권씩은 되는 분량이니까요. 본문에서는 짧막한 활용법을 제시하면서 Kilo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기술들에 대해서는 정말 필요한 내용만을 다루므로 이런것이 있구나 정도로 이해하시고,  관련 기술에 대해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서적을 참고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