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높이뛰기 - 신지영 교수의 언어 감수성 향상 프로젝트
신지영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어는 타인과 소통하기 위해서 필요한 매개이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언어가 매개임을 잊는다. 언어가 입과 , 그리고 생각하는 모든 것에 붙고 나면 그것을 당연한 것처럼 여겨져 매개임을 잊는 것이다. 언어가 매개임을 잊는 일은 언어에 내제되어 있는 의미를 사유하지 않도록 만들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언어가 만들어내는, 구체적으로는 언어의 의미가 만들어내는 영향력이라는 것을언어는 언어일뿐이라는 쉬운 말로 외면하고 있진 않은지 고민해봐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언어의 높이뛰기>언어 감수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언어에 내제되어 있는 의미란 무엇인지, 의미가 어떤 영향력을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누구나 공감할 있는 실제 예시를 들어 설명해준다.


한국 사회가 나이 위계를 무척 중요시 한다는 것은 다들내가 당해봐서 아는데라고 당당히 말할 있을만큼 절절히 느껴왔을 것이다. 그래서 <언어의 높이뛰기> 장부터 재밌다. 한국 사회는 이렇게 상대방의 정확한 나이를 알고 싶어하는 것인지, 나이에 집착하는 것인지에 대해 저자 신지영 교수는나이가 권력이 되는 사회를 만든 이면에는 사실 한국어가 숨어 있다. 한국어는 나이에 의해 무조건적으로 주어지는 비대칭적인 권력관계를 설정하고 이를높임법이라는 문법을 통해 드러낸다 설명한다. 상대방의 정확한 나이를 알고 싶어하는 이유는 나이에 따라 언어의 위계도 정해지기 때문인 것이다. 언어가 매개임을 잊고 당연하게 여기는 순간 당연스러움이 당신을 연령 차별주의자로 만든다. 언어는 언어일뿐일 수가 없다. 우리가 쉽게 쓰는 외래어나 신조어가 누군가에게는 필요한 정보로부터 소외당하게 만드는 도구임을 지적하는 부분도 인상깊다. 저자는전문어와 일상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일반인들의 정보 접근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정보 접근성이 낮아지게 되면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에 정보 비대칭성이 커지면서 집단 사이에 정보 격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정보 격차의 크기만큼 정보를 가진 쪽이 권력을 갖게 된다 말한다. 코로나19 인해 새로운 개념이 유입되고 만들어지는 상황에서 더욱이 유념하고 고민해야할 지점이다.


저자는 위와 같은 관점들을언어 감수성이라고 설명하며, 계속적인 언어 감수성 향상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소외당하는 존재 없이함께살아갈 있는 사회로 진보하기 위해서 언어 감수성의 향상은 필요가 아니라 필연이 아닐까 싶다


<언어의 높이뛰기> 책의기분 사장님께 추천 받은 책이다. 내게 어울린다며 추천해주셨는데, 사실 책과 같은 저자가 <언어의 줄다리기> 모두 추천 받았고 <언어의 높이뛰기> 대중서에 가깝다고 하셔서 책을 골랐다. 덕분에 어렵지 않고 재밌게 읽었던 같다. 책을 읽고 언어 감수성의 세계에 빠져들고 싶다면 <언어의 줄다리기> 읽어보셔도 좋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