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고도 가까운 - 읽기, 쓰기, 고독, 연대에 관하여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 반비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멀고도가까운> 리베카솔닛

-

청도 시골책방 봄날에서 구입한 .

-

<멀고도 가까운> 리베카 솔닛 앞에 혼자서는 처리할 없는 산처럼 쌓인 살구들이 나타나면서 시작된다. 살구들은 그녀의 어머니 집에 있던 살구나무에서 따온 것으로 그녀의 어머니가 알츠하이머로 인해 이상 살구들을 처리할 없게 되자 결국 그녀의 몫이 되었다. 앞에 쌓여있는 살구들. 그녀는 이제 성하지 못한 살구들을 골라내고 남은 살구들을 처리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집안 곳곳에 악취를 풍기며 썩어갈 것이 뻔하다. 그러면서 생각한다. 마치 미뤄두었던어머니 이야기를 꺼내 골라내고 담아내야하는 것과 같다고. 그렇게 솔닛의 멀고도 가까운 이야기 여정이 시작된다.

-

리베카 솔닛은 어머니와의 팽팽했던 갈등부터 시작해 알츠하이머로 인한 이해할 없는 행동들을 이해해보기 위해 어머닝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기를 시도한다. 시도는감정이입이다. 리베카 솔닛은 말한다. ‘하나의 장소가 하나의 이야기이며, 이야기는 지형을 이루고, 감정이입은 안에서 상상하는 행위이다. 감정이입은 이야기꾼의 재능이며, 이곳에서 저곳으로 건너가는 방법이다라고. 그렇지만 <멀고도 가까운> 섣불리 어머니에게 감정이입하지 않는다. 갈등의 시간이 길었던 시간만큼 멀어진 거리를 좁혀나가기 위해 가장 가까운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그것은 소설 인물이나 작가의 이야기이도 했고 동물이나 장소에 대한 이야기일 때도 있었으며 지인의 이야기이기도 했다. 종국에 그것들은 솔닛의 이야기이기도 했는데,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마치 어머니의 이야기를 만나기 위해 떠난 이야기 여정처럼 느껴진다.

-

그렇게 등장하는 이야기들은 페이지가 넘어 갈수록 <멀고도 가까운> 표지처럼 실타래가 되어 얽혀간다. 얽혀 있는 실타래를 풀려고 노력하거나 이야기를 관통하는 주제의식을 찾아 헤메인다면 오히려 이야기 속에서 길을 잃는다. 또한 잠시 미아가 되기도 했는데, ‘완성된 이야기라는 고정관념이 나의 눈을 가렸던 같다. ‘우리는 자주 특별하거나 어마어마한 문제를 마주하면서도 거기에 그저 그런 대답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동화나 우화의 주인공은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무엇을 욕망하고 어떻게 사는지에 관한 질문을 몸으로 보여주지만, 결말은 그에 대한 진짜 대답이 아니다. 모험이나 위기를 겪는 동안 주인공은 대단한 사람이 아니다. 그는 그저 결심, 임기응변, 협력, 그리고 정작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남다른 생각에 이끌려 움직일 뿐이다.’라는 솔닛의 지적처럼 그녀는 관습적인 결말을 서술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이야기, ‘변화가 잉태되는 순간 이야기한다. 여타의 책들처럼 하나의 결말로 흘러가지 않는다. 왜냐하면 솔닛은 오늘까지도 수많은 이야기들을 경험하고 사유하고 써내려 가고 있을 것이고 그것이 바로 그녀의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책을 읽는다면 정형화된 결말이 없는, 그럼에도 이야기 자체가 주는 힘을 지닌 솔닛의 글을 낯설어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를 읽어내려가면 좋겠다.

-

추신 1)

개인적으로 신체적 고통에 대한 통찰이 매우 감명 깊었다. 특히 나병에 걸렸을 무감각 상태가 자아를 축소한다는 것과 신체적 고통에 대한 감정이입이 나의 확장을 불러온다는 해석에 많이 배웠다.

-

추신 2)

책의 구성부터가 멀고도 가깝다. 목차를 살펴보면 서두의 제목들이감다’, ‘매듭’, ‘풀다 거쳐 다시 처음의 제목들로 돌아가는 형식이다 내용도 마찬가지이다. 가깝지만 멀었던 곳에서부터 시작해 멀지만 가까운 곳에서의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생각하면서 읽는다면 재밌게 읽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