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의 종교 살림지식총서 383
유흥태 지음 / 살림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 페르시아에 관한 책을 연속적으로 보았다. 저자가 썼던 [고대 페르시아의 역사]와 신규섭의 [페르시아 문화]를 읽은 후 이 책을 읽어나갔다.

 

저자의 말처럼 고대 페르시아 종교는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유일신 사상, 구원론, 메시아론, 부활론, 천국과 지옥, 천사와 악마 등의 교리는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와 비슷하다. 유대교의 토요일 안식일이 미트라신의 날인 일요일로 바뀌면서 기독교의 주일이 된 것 등 상당히 많다.

이문열의 소설 [사람의 아들]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한 선한 신과 악한 신의 대결 구도도 바로 조로아스터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런 데 대해 저자는 대체로 설명을 잘 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쉬움 점이 남는다. 뭔가 어수선하다는 느낌이다. 즉, 내용이 중복되는 듯한 느낌이다.

그리고 조로아스터를 기원전 1500년에서 1300년경의 사람으로 기록하였는데, 이는 터무니없는 것 같다. 다른 자료들은 대부분 기원전 650년즈음으로 본다. 차이가 나도 너무 많이 난다. 만약 저자가 언급한대로라면 스스로 모순이 발생한다. 16쪽에 조로아스터가 박트리아 제국의 장관 딸고 세번째 결혼을 했다고 하는데, 박트리아 제국은 기원전 246~138년에 존재했던 나라이기 때문이다.

 

만약 박트리아 제국의 일이 사실이라면 조로아스터가 다른 종교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조차 애매해진다. 조로아스터의 생존 연대가 기원전 3세기가 되기 때문이다. 이런데 대해 좀 더 철저하게 검증을 하고 책을 썼으면 좋았을 것을 하는 아쉬움을 떨칠 수 없다. 이런 것이 책의 전체적인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