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조선왕조사 - 500년 조선왕조를 이야기로 읽는다
이근호 지음 / 청아출판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그저 할인행사를 한다는 말에 혹해 산 것이 나의 실수일지도 모르겠다. 다소 두꺼운 부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싸다 보여진 그 가격이 매력적으로 보인 탓도 있을 것이다. 내가 궁금해하던 왕.. 그리고 그때의 상황만 찾아서 읽을 수 있다는 것에 푹 빠져 성큼 집어들었다. 그리고 몇몇(태조, 세종, 연산군, 중종, 선조, 광해군, 인조)만 읽었다. 평가가 입장에 따라 많이 다른 그들.. 과연 이 책은 얼마나 객관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가 궁금했다.

그렇다. 실은 어떤 것이 '객관적'인 것이고, 또 어떤 것이 '진실'인지는 이미 알기 어렵다. 왕이라는 인간의 고뇌는 전혀 알 수 없는 것이 이러한 왕조를 기술한 역사책이고.. 되려 그들 각각의 고민과 신념 등등이 궁금하다면.. 차라리 그들의 이름을 달고 나온 소설책을 보는 것이 더 나은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책이 한국현대사를 다루고 있는 것도 아니고 이미 먼 과거가 되어버린 조선사를 다루고 있는 것이라면.. 좀더 많은 자료와 좀더 다양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책을 꾸렸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미 죽어버린 사람들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다.

무언가 방향을 설정해 놓고.. 그 방향에 맞추어 각각의 에피소드(책에서는 '야사'라 이야기하는..)를 배치해 놓은 것과 같은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모든 정권에는 잘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그것을 플러스 마이너스로 계산하여 총점을 내는 것이 역사가 할일은 아니라 생각된다. 잘한 일은 잘한일대로, 못한 일은 못한 일대로 평가해주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현재 우리의 언론들이 하고 있는 모양새 그대로 조선을 평가하고 있었다. 좀더 다양한 방향에서 왕을, 혹은 정권을 봤더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묘한 고양이 쿠로 1
스기사쿠 지음 / 시공사(만화)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요즘 부쩍 고양이가 많이 보인다. 골목 뿐 아니라.. 간판에서도, 광고에서도, 책 제목에서도.. 고양이를 키워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겠지만.. 고양이는 절대 길들여지지 않는다. 그와 함께 사는 것은 연애를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쿠로는 그런면에서 볼때는 좀더 인간적인(?) 고양이지만.. 그 역시 고양이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이 인간적인 고양이 쿠로에서 난.. 사람을 봤다고 해야 할까?

쉽게 상처받지만, 상처받았다고 말하지 못하고.. 사랑에 빠지지만 고백하지 못하고.. 실연당하지만 사람들 앞에서는 눈물 짓지 못하는.. 우리들과 쿠로는 너무나 비슷한 점이 많았다. 귀여운 그림으로, 몇마디의 짧은 단어들로 그저 쿠로와 그의 주변 고양이들에 쉽게 이야기하지만 그것들 안에는 너무나 많은 우리들의 감정이 담겨 있기에.. 쿠로를 보면서는 신파류의 순정만화보다, 멜로 영화보다 더 감정의 높낮이가 쉽게 변했던것 같다.

작가는.. 처음으로 단행본을 내었고, 그것이 2권까지 나왔다는 것에 아주 소박하게 즐거워하지만.. 이 역시 쿠로의 소박함과 비슷하지만.. 이 안의 짧은 이야기들은 결코 소박하지만은 않다. 아무것도 아닌 우리들이.. 이 세상을 살아내는데.. 있어서 소박하지만.. 소박하지 않은 것과 같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 - 지구에서 가장 특이한 종족
디트리히 슈바니츠 지음, 인성기 옮김 / 들녘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난 여자다. 그래서 늘 남자가 궁금하다. 도대체 왜 그런거지? 왜 이런 생각을 하고, 왜 이딴 식의 행동을 하는거지? 하고 말이다. 책을 읽고 나서, 아니 읽기 시작하면서부터 새삼 깨닫게 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남자와 여자는.. '다르다'는 아주 사소한 사실이다. 존 그레이의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가 남자와 여자의 차이를 드러내면서 서로 이해할 것을 요구한다면, <남자>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다르기에 그것을 인정하자 말한다. 이 한권의 책으로 '남자'에 대한 모든 것을 다 알수는 없을 것이고, 또한 그것이 구체화되어 '그'를 알게 하는 것이 되지는 못하겠지만 적어도 그들 전체를 인정해주기에는 매우 좋다. 특히 여자들이 봐야 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