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 불길, 신냉전이 온다 - 일대일로 정책에서 타이완해협의 위기까지 더 은밀하고 거대해진 중국의 위협
이언 윌리엄스 지음, 김정아 옮김 / 반니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냉전'이란 신종어가 낯설지 않는 것은 '냉전'이란 프레임에 익숙한 우리 민족의 가혹한 운명 때문이다. 중장년을 비롯 노인분들 입장에서 '냉전'의 무거움은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뇌리에 박힌 두려움이라고 말할 수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보면서 이곳에서 전쟁이 일어날 리 없다는 근거 없는 낙관의 위험성은 그들로 하여금 시간이 없다는 다급함과 함께 우크라이나의 전쟁 전략을 통해 분석하고 준비하게 하였다. 나 또한 이책을 골라 읽으며 언젠가 닥칠 모를 일에 대한 대비책 중 하나로 지금 처한 현실을 객관적인 정보와 자료로 준비하고 싶었다. 중국은 일대일로와 '회색지대 분쟁' 전략으로 '하나의 중국'이란 이름 아래 세계를 누비며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역사적 권리'란 명목으로 남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베트남, 필리핀 등 다수의 나라와 영유권 쟁탈전을 벌이고 있으며 남중국해의 90%가 자국의 영토라며 우기고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다수의 나라들에 투자를 제안해 경제적 도움을 주는 것처럼 환심을 사서 투자 개발하는 기반시설을 핑계로 중국인들을 이주시키고 중국공산당의 영향력을 소름 돋게 확장하고 있다. 자원의 확보와 일대일로로 중국이 서부 진출을 위한 하나의 길을 연결해나가고 있다. 중국이 세계 각국에서 벌이는 영유권 분쟁은 시진핑이란 인물의 3연임으로 앞으로 행보가 확실해 보인다. 시진핑은 타이완을 되찾는 것이 '확고부동한 역사적 책무"라고 강조하면서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꿈꾼다. 시진핑과 푸틴 두 사람은 역사적 불만이 깊고 옛 제국의 재건을 꿈꾼다는 공통점이 있다. 루스키 미르Rusky Mir(러시아의 세계) 재건을 꿈꾸는 푸틴은나중애 우크라이나 침공을 루스키 미르로 정당화했다. 루스키 미르와 중국몽 모두 구세주처럼 민족의 위대함을 되찾는다는 세계관이다. 두 사람은 세계를 강대국의 정치와 세력권 관점에서 바라본다. 거기에는 우크라이나나 타이완과 같은 성가신 민주국가들이 자국을 지키고 정치적 선택을 할 권리와 자결권이 들어설 틈이 없다. 서방의 지도자들이 신냉잔을 바라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중국공산당은 이미 일종의 냉전상태에 들어섰고, 한 연구에 의하면 2030년이면 군사적으로 미국울 뛰어 넘을 수 있는 역량울 갖추게 된다고 보고았다. 일본, 호주, 미국,인도 4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안보 협의체를 가동하고 있는데 타이완과 함께 중국위 침략을 대비해서 훈련을 하고 있다고 한다. 남중국해는 해저에 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리라 추정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에게도 무역의 중요한 통로이다. 타이완과 일본은 그리 멀지 않기에 일본이 자신의 방위를 이유로 군사적 행동을 허럭할 시 신냉전의 기류에 세계는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하기 어렵다. 평화롭던 시간에 현대화로 군사력을 증강시킨 중국과 예전의 영광을 되찾고 싶은 두 나라는 '신냉전'을 택했고 타이완과 우크라이나는 서방의 힘을 도움 받아 전쟁을 일으킨 대국이 전쟁을 단념하도록 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그들만의 '호저 전략'을 찾아내 하나의 목소리로 두 강대귝이 전쟁을 포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자신들의 전략이다.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는 '우리 자신을 지키는 것이다. 일대일로는 북한도 예외일 수 없다. 중국에게 우리도 한낱 속국으로 분류되는 불행을 막고자면 그들의 동태와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들을 생각하는 기회를 만들어 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