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인과 바다 - 노인이 소년에게 남기고 싶은 것
고민곤 지음 / 좋은땅 / 2022년 7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노인과 바다’란 유명한 작품보다 ‘헤밍웨이’란 위대한 작가에 대한 궁금증이 더 컸다. 헤밍웨이에 대한 전기를 읽은 후 그의 작품들이 궁금해지던 차에 ‘노인과 바다’를 유려하게 해석한 고민곤 문학박사의 책울 만나게 되었다. 혼자서 원작을 읽었더라면 작품의 배경지식과 인물간의 관계도 그리고 작가의 의도를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었을까 하는 의구심도 들게 한 얇은 책 한 권은 인문고전에 대한 나의 평상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고전은 사람들로 하여금 삶에 대한 통찰력을 심어주지만 그만큼 저자의 의도를 알아차리기에 읽은 이들의 역량이 그대로 반영되어 돌아오는 거울 같은 존재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부제가 ‘노인이 소년에게 남기고 싶은 것’인 것으로 보아 고민곤 작가의 집필 의도를 짐작하게 했다. 기성세대로 청년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삶의 지혜를 담은 지침서로 적당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책은 원작의 원서의 일부와 작가의 내용에 대한 해석을 함께 구성하여 심오하고 지루한 어부와 큰 청새치 그리고 상어떼와의 사투를 인문학적인 해석으로 책의 이해도를 높였다. 쿠바의 어느 작은 어촌 마을이 소설 배경이며 84일 동안 고기 한 마리도 낚지 못한 노인이 선택한 3일간의 먼 바다에서 펼치는 낚시라는
여정에서 그의 고난은 신념과 어부로서 정체성 그리고 강인한 정신력과 같은 역경에 대한 삶의 태도를 보여준다. 노인에게 소년은 후임자이며 가장 깊은 인간관계로 한 시대를 공생하며 각 세대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존재다. 노인은 소년을 통해 돈보다 더 중요한 가치가 있음
을 보여주기 위해 소명의식을 가지고 자신을 내던진다. 현재의 고통
과 어려움이 다소 불만이고 힘들더라도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면서 자연과 이웃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지향한다.인간을
위대하개 만드는 것은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면서 행동하게 될 때
“파괴될 수 있어도 패배할 수 없다.”라고 인식할 때 성장하게 된다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