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史를 넘어 - 붓에 살고 붓에 죽은 서예가들의 이야기
김종헌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으로 먹을 갈고 붓을 들고 흰 도화지에 글을 썼던 기억은 초등학교 3학년 때이다. 담임  선생님께서는 서예시간에 “붓을 들기 전에 마음을 가다듬고 벼루에 먹을 가는 것이다.” 라고 늘 강조하셨다. 그 꼬물꼬물하던 우리 반 아이들은 그 말이 무슨 뜻 이었는지 몰랐을 것이다. 나 또한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 선생님께서 강조하신 이유를 알지 못했다.

글을 쓰는 사람들은 많은 경험을 통해 작품이 나온다고 생각을 해서 사랑 없이는 죽을 것같이 울고 웃기도 하고, 죽지 않을 정도의 담배와 술을 하기도 한다. 너무나도 쓰린 상처와 경험을 통해 작품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서예를 하는 사람들은 늘 곧은 마음가짐과 생각으로부터 예술혼이 나온다고 한다. 좋은 작품을 위해 건강을 유지하거나, 추앙받는 작품을 많이 보고 연습을 통해 작품을 만든다. 필묵정신과 입고창신의 창조정신에 충실하게 예술혼을 담아내는 것이다. 이런 점이 서예의 매력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다.

저자는 일반 독자들이 서예를 이해하는데 조그마한 도움을 주고자 책을 썼다. 전통예술인 서예를 일상생활로 끌어내, 쉽게 일상에서 만나 감상하며 즐기게 되며, 작품의 좋은 시와 격언과 금언을 만나게 고대했다. 그런 취지에서 이 책은 매우 훌륭하다. 서예에 대해서는 붓과 먹 그리고 추사 김정희만 알고 있는 나와 같은 사람에게는 매우 자세히 설명되어있다. 기본적인 단어와, 다양한 서체의 설명 그리고 김종헌 그가 말하는 근현대 한국 서예가 5인,  그리고 서예의 최고봉 판교 정섭과 추사 김정희에 대해서 깔끔하게 정리되어있다.

서예는 다양한 점과 선으로 된 예술이라고 한다. 서예를 자세히 알지 못했을 때는 그저 검은 먹을 적신 붓으로 그려내는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서예가들이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그림을 그렸는지 글을 썼는지, 그것을 어떤 방식의 점과 선으로 그려냈는지 자세히 설명해준다. 뭐든지 백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것이 낫다. 붓에 살고 붓에 죽은 서예가들의 작품은 이러했고, 이러한 방법으로 그렸으며, 당시 상황은 이랬습니다. 라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한 페이지 가득 작품이 실려있다. 책을 통해 보는 작품이지만, 어디선가 묵향.. 초등학교시절 처음 벼루를 갈던 서예시간에 맡던 묵향이 느껴졌다.

편집과 구성은 뛰어나지만, 조금 아쉬웠던 점은 조금은 더 쉽게 풀어나갔으면 하는 아쉬움이다. 이 책을 읽었다고 해서 절대로 서예란? 에 대한 답을 얻을 수는 없는 듯하다. 우리 전통예술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한다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발판 삼아 더 자세하고 많은 작품을 알릴 수 있는 책이 나오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